“트럼프 관세 속 유럽 공략 강화”…한국차, 자동차 수출 다변화→9월 최대 실적
한국 자동차 산업이 전방위적 글로벌 위기 국면에서도 역동적인 시장 다변화로 빛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9월 기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라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한국의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한 659억5천만달러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와 함께 자동차 수출 역시 저력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내연기관차·전기차를 아우르는 한국 자동차 기업들의 접근 방식과 유럽 및 신흥 시장에서의 공략 전략이 다시 주목받는다.
이번 수출 호조의 배경에는 자동차 산업의 유연한 시장 대처 능력이 자리한다. 미국의 25% 고율 관세로 인해 대미 자동차 수출은 2.3% 소폭 감소한 19억1천만달러에 머물렀다. 그러나 EU 수출은 54% 급증한 7억달러, CIS 지역 수출도 77.5% 대폭 성장하는 양상을 보였다.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모두 고른 성장세를 보였고, 수출 확대의 결과 9월 역대 최대 실적을 실현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대중국·아세안·EU·중동 등 전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고, 미국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시장 다변화가 탄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장벽에도 불구하고, 한국 자동차 산업이 EU와 CIS 등에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지위와 영향력을 견고히 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출 시장 포트폴리오의 신속한 다변화와 적극적인 시장 공략 의지가 미국발 불확실성 속에서도 값진 성과를 이끌었다”고 밝혔다. 수출 흐름의 다변화와 친환경차 주도권 경쟁 심화는 한국 자동차가 향후 글로벌 무대에서 지속 가능한 도약을 실현할 수 있는 주요 축임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양상으로, 산업계 전반에 긴장감 있게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