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집사 해외 도피”…특검, 체포영장 청구와 여권 무효화 착수
김건희 여사 일가의 핵심 측근 김예성이 베트남 출국 후 장기간 귀국을 거부하면서,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김예성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됐다. 15일 특검은 김예성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하며 여권 무효화 조치에도 착수,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문홍주 특검보는 이날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소위 ‘집사 게이트’와 관련해 김예성이 본인과 배우자 모두 특검에 어떤 연락도 해오지 않았다”며, “귀국이나 출석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김예성은 이달 1일 자녀들 역시 베트남으로 출국시킨 사실이 확인됐고, 체포영장이 발부되는 즉시 여권 무효화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문 특검보는 “귀국 시에는 ‘집사 게이트’뿐 아니라 코바나컨텐츠 뇌물 의혹 사건도 병행 조사해 각 사건의 실체를 신속 규명하겠다”고 강조했다. 집사 게이트는 김예성이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카카오모빌리티 등 대기업에서 184억원을 부정하게 투자받았다는 의혹이다. 당시 투자 대상인 IMS는 김씨가 설립에 직접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수백억원대 누적 손실을 안은 부실기업이었다.
특검팀은 이미 이 사건에 관한 압수수색 영장을 법원에 청구했으나, 법원은 특검법상 수사 대상이 아니라며 기각했다. 이에 민중기 특검팀은 즉각 압수수색 영장 재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문 특검보는 “대기업들이 그런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배경에 의심의 여지가 크다. 법원이 수사 기회를 주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날 특검은 ‘건진법사’ 전성배가 연루된 2022년 6·1 지방선거 공천 의혹 관련 강제수사에도 착수했다. 강남구 역삼동 전씨 법당을 비롯한 주거지·사무실 등 10여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혐의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적용이 유력하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전씨가 소속된 종교단체 충주 일광사와 서초구 변호인 사무실이 포함됐다.
변호인 사무실 압수수색과 관련해선 “전씨의 휴대전화 등 증거 확보가 목적이며, 변호인에게 증거인멸 혐의는 적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2022년 지방선거 공천 수사 일환으로 박현국 봉화군수의 휴대전화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양평고속도로 특혜 및 국토교통부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특검팀은 전날 국토교통부 장관실을 포함한 10여 곳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해당 일과 연계된 국토부 공무원과 용역업체 임원 등 5명을 이날 소환했다. 향후 16일에는 국토부 서기관 조사도 예정돼 있다. 아울러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의 핵심 인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의 소환 일정은 아직 조율 중이다.
정치권과 사회 일각에서는 이번 특검의 강제 수사 확대가 김건희 여사와 여권 관계자들을 둘러싼 의혹에 새로운 변곡점을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압수수색 영장 재청구 등 추가 조치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으로, 사안의 파장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