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8월 한미정상회담 전략 고심”…이재명, 트럼프와 안보 패키지·관세 협상 분수령
정치

“8월 한미정상회담 전략 고심”…이재명, 트럼프와 안보 패키지·관세 협상 분수령

장서준 기자
입력

한미정상회담을 둘러싼 전략적 셈법과 맞물려 정치권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주 첫 정상회담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 속에, 경제와 안보를 아우르는 주요 쟁점들이 정국의 격랑을 예고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에 한숨을 돌린 대통령실은 8월 중 열릴 한미정상회담에서 국익을 극대화할 외교·안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 일정을 두고 한미 외교 채널의 실무 조율이 한창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워싱턴DC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과 회동 후 "날짜를 조율하고 실무선에서 내용을 충실히 만들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2주 이내’에 정상회담을 위해 방미할 것이라고 언급해, 조기 회담 가능성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다만 최종 일정은 유동적인 상황이다. 현지에 머무르고 있는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단정하기 어렵다. '2주 안이다, 밖이다' 얘기하기 어렵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역시 "미국 대통령도 바쁘고 우리 대통령도 일정이 있다"고 확인했다. 양 정상의 하계휴가 일정 등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회담 날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정상회담이 조기에 성사될 경우, 경제 불확실성 해소와 한미 정상외교의 조기 재가동이라는 효과가 기대된다. 반면 회담까지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주요 의제에 대한 꼼꼼한 전략 마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리적 판단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관세협상 후속 논의와 함께 국방비 증액, 미국산 무기 구매, 주한미군 역할 조정 등 이른바 ‘안보 패키지’가 집중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정부의 고심도 깊다. 외교·안보 복합 이슈를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은 추가 양보 없이 관세협상 성과를 지켜내면서, 한미동맹 현대화 구상과 맞물린 안보 현안을 신중하게 풀어가야 한다. 최근 방미 중인 고위 당국자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성격은 여러 가지 요인 때문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연계한 동맹 재조정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미국 입장에 공감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미측 요구를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해석도 제기됐다.

 

이와 함께 중국 편향 우려 해소, 한미 간 북핵 해법 공조 등이 정상회담의 또 다른 과제로 부상했다. 외교 라인과 대통령실은 신중한 대응을 예고하며 양국 협의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관세협상에 이어 안보·통상 전분야에서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거래’ 압박이 더 거세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경제계와 안보 전문가는 “국민 부담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합의가 이뤄질 경우 국내 여론 악화는 불가피하다”며 신중한 협상론을 주문했다.

 

한편 8월 내 한미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앞으로 한국 외교·안보 정책의 중장기 전략 방향에도 큰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당분간 한미 외교 및 안보 이슈에 대한 정책 검토와 협상 준비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한미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