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고속도로 2차 사고 치사율 4.4배”…박용갑, 도로공사 안전대책 미흡 지적

윤선우 기자
입력

고속도로 2차 사고를 둘러싼 경고음이 다시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교통사고는 줄었지만 2차 사고만큼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드러나면서 도로 안전망에 대한 정치권 공방도 이어지고 있다.

 

16일 박용갑 의원에 따르면, 2020년 1천834건에 달하던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2024년 1천573건으로 약 14% 줄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두 번째로 발생한 2차 사고는 51건에서 70건으로 약 40% 증가했다. 2차 사고란 고장이나 사고로 정차한 차량 또는 사람을 뒤따르던 차량이 추돌하는 경우를 뜻한다.

더욱 심각한 점은 2차 사고의 치사율이다. 지난해 기준 2차 사고 치사율은 44.3%로, 같은 해 전체 고속도로 사고 치사율(10.1%)의 4.4배에 달했다. 박 의원은 "2차 사고는 시야 확보가 어렵고 구조적인 위험이 크다"며 사고 한 번에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원인별로는 운전자의 인지 지연이 상당수였다. 실제 지난해의 경우, 2차 사고 70건 중 76%가 주시 태만, 16%는 졸음운전 탓으로 집계됐다. 사고가 집중된 시간대 역시 야간에 몰려, 46건이 야간에 일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어두운 환경이 위험 요인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도로공사는 지난해 9월 서해안선 서울 방향 296.2~296.7㎞ 구간에만 2차 사고 예방시스템을 도입했다. 하지만 전체 고속도로 4천397㎞ 중 0.01%에 불과한 시범 설치다. 사고나 고장 시 차량 밖에 나와 버튼을 눌러야 하는 구조 역시 현실적으로 예방 효과가 한계에 부딪힌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전국적인 예방 시스템 확대 및 종합적 안전대책 마련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박용갑 의원은 "도로공사는 시범사업에 머물지 말고 다각도의 방안을 준비해 국민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도로공사는 시범사업 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국회는 고속도로 2차 사고 문제에 대한 정책적 논의와 함께, 도로 안전시설 개선을 중심으로 후속 대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용갑#한국도로공사#2차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