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삼부토건 경영진, 주가조작 부당이득 369억원”…김건희특검, 첫 구속영장 청구
정치

“삼부토건 경영진, 주가조작 부당이득 369억원”…김건희특검, 첫 구속영장 청구

정하린 기자
입력

주가조작을 둘러싸고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까지 얽힌 삼부토건 사건이 정국의 새 불씨로 떠올랐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 전현직 경영진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대규모 부당이득 산정 결과가 현실로 드러났다. 이번 수사는 대통령 가족을 겨냥한 특검팀의 첫 강제수사로, 정가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삼부토건 이일준 회장, 조성옥 전 회장, 이응근 전 대표, 이기훈 부회장 등 전현직 최고위층 네 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구속영장 청구서에는 네 사람의 부당이득 규모가 총 369억원에 달한다고 명시됐으며, 개별적으로 조성옥 전 회장 측 이득이 200억원, 이일준 회장 측이 170억원 정도로 산출됐다.

특검팀은 이들이 지난해 5월과 6월, 삼부토건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추진을 내세워 투자자들을 현혹한 뒤, 실제로는 보유 주식을 고점에서 매도해 막대한 차익을 거둔 것으로 봤다. 이 과정에서 2023년 5월 삼부토건 경영진은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 참여해 각종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업 추진 이미지를 강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힘입어 삼부토건 주가는 1000원대에서 두 달 만에 장중 5500원까지 치솟았다.

 

특히 특검팀은 이 시기 회장이 교체됐고, 조성옥 전 회장이 주가가 급등한 시점에 주식을 대거 처분해 수백억원의 수익을 냈다고 밝혔다. 이어 이일준 회장 역시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기대감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분 매각으로 거액의 차익을 챙겼다는 혐의가 영장에 포함됐다. 이응근 전 대표는 회사의 우크라이나 진출 사업 총괄 창구 역할을, 이기훈 부회장은 회장 지분 승계 및 포럼 참가 실무를 맡으며 배후 지시자로 지목됐다.

 

정치권에서는 정치적 쟁점으로 부상한 만큼, 이번 첫 구속영장 청구가 특검 수사 본격화의 신호탄이라는 평가가 제기된다. 여당은 “사법절차에 따라 엄정히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야권도 “객관적 수사를 통해 대통령 가족 연루 의혹까지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법조계 인사들은 “369억원이라는 막대한 부당 이득 규모와 다단계 형식의 주가조작 의혹이 맞물리면서, 이번 사건은 향후 파장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들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은 17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이정재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진행된다. 이날 법원의 영장 발부 여부에 따라, 대통령실과 정치권 대응도 변화할 전망이다. 특검팀은 향후 구속영장 발부 시, 수사를 확대해 ‘윗선 개입’ 여부까지 들여다볼 계획이다.

정하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특검#삼부토건#주가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