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 3대 강국 도약, 전폭 지원”…이재명 대통령, 젠슨 황과 韓-엔비디아 협력 강화 강조

임태훈 기자
입력

정치와 첨단기술의 만남이 한국 산업계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31일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계기 접견에서 인공지능(AI) 산업 협력 방안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AI 생태계 주도권을 둘러싼 정부와 글로벌 기업의 전략적 행보에 업계와 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최근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에 동참하기로 했다. 엔비디아도 함께 하기를 기대한다"며 "정부에서는 투자에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를 국가 비전으로 제시하며 기술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한국 기업 간 협업은 글로벌 협력의 대표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함께 하며, 재계 총수들이 구체적인 AI 협업 구상과 글로벌 비전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AI와 관련해 '풀 스택'(전 단계 공정)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엔비디아의 투자가) 실패하지 않고 성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역설했다. 문화와 민주주의 등 대한민국의 비물질적 강점도 함께 언급하며 "AI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화와 민주주의"라고 덧붙였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의 AI 산업 발전 여정에 엔비디아가 함께할 것"이라며 "AI 인프라 구축, 인재 및 스타트업 육성,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를 포함해 국내 기업들과 실질적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제조 분야 모두 강점이 있어 AI 분야 리더가 될 가능성이 무한대"라고 평가했다. 황 CEO는 "오늘날 엔비디아를 만든 것이 대한민국"이라며 한국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표했다.

 

대기업 총수들도 구체적 각오를 밝혔다. 이재용 회장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강국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고, "생성형 AI와 옴니버스 등 전 분야에서 엔비디아와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태원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대기업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까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정의선 회장은 "정부의 행정적 지원이 기대된다"며 중소기업과 학계의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를 약속했다. 이해진 의장은 “미래의 중요한 유산은 데이터”라며 국내외 협력을 통한 AI 생태계 확장을 시사했다.

 

APEC 계기 만남에서 국내 기업들과 엔비디아의 다층적 파트너십이 예고된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서는 국가 AI 전략의 성공 조건으로 제도적 뒷받침과 인재 양성 정책의 실효성을 주문하고 있다. 비판적 시각에선 글로벌 대기업 중심의 투자 유치에만 매몰돼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그러나 정부와 재계는 한미 경제안보동맹 등 글로벌 협력 강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향후 AI 글로벌 허브 구축,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데이터센터 및 인재 육성 정책 등에서 구체 실행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경주에서 열린 양자회담과 기업인 간담회는 현실적 AI 산업 전략 수립의 분수령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임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젠슨황#엔비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