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량 변하면 위험도 바뀐다”…분당서울대병원, 위암 발병률 변화 추적
음주 습관의 변화가 위암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대규모 장기 추적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바탕으로 40세 이상 성인 31만명 이상을 12년에 걸쳐 분석한 결과, 음주량의 증감이 위암 발병에 유의한 파급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과가 기존의 '절대 음주량' 대비 '행태 변화'의 위험도를 처음 구체적 수치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향후 위암 예방 전략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연구팀이 하루 알코올 섭취량(남성 기준 경도 15g 미만, 중등도 15~29.9g, 고용량 30g 이상)에 따라 그룹을 분류해 분석한 결과, 기존 음주 습관의 유지 여부와 별개로 음주량이 늘어나는 경우 위암 위험이 명백히 증가했다. 특히 평소 음주를 하지 않던 이가 '가벼운 한 잔'을 시작할 경우에도 위암 발생률이 14% 높아졌으며(상대위험도 1.14), 반대로 중등도 음주자가 섭취량을 줄이면 위험이 20% 가까이 감소(상대위험도 0.80)하는 등 생활습관 변화가 질병 위험에 직접 연결되는 양상이 뚜렷했다.

이 같은 결과는 음주 행태가 위암 예방 및 관리에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위험도 곡선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비음주자 그룹이 평균적으로 10% 낮은 발병률을 보였다. 여성은 평시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으나, 비음주 상태에서 고용량 음주로 급격히 양이 늘면 발병률이 약 2배에 달하는 등 일부 집단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에서는 빅데이터 기반 생활습관-질환 연계 분석이 신약개발 및 예방의학 등 여러 분야로 확장되는 추세다. 미국·유럽 등에서도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한 맞춤형 건강관리 전략이 각국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번 연구처럼 건강검진·의료 데이터의 활용성이 높아지며, 질병 조기예방 및 국가 수준 헬스케어 혁신 정책의 근거 자료로 자리잡아가는 모습이다.
연구진은 “개인의 음주 습관 관리에 있어 절대량뿐 아니라 변화 경향을 면밀히 살피는 것이 위암 예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족력, 조기 위암 경험, 흡연 등 고위험 인자를 가진 경우 절주·금주를 원칙으로 생활 습관을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암학회 공식 학술지에 게재되며 국내외 암예방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데이터 기반 예방 전략이 실제 보건의료 체계에 어떻게 반영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제도·윤리의 균형잡힌 접근이 국내 정밀의료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도 재차 확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