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계도 조국 사면 촉구”…진우스님, 이재명 대통령에 청원서 전달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에 대한 사면을 둘러싼 논의가 정치권과 시민사회, 종교계로 확산되며 대통령실을 압박하고 있다. 특히 진우스님(조계종 총무원장)이 직접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특별사면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낸 사실이 28일 알려져, 정국에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진우스님은 대통령실에 전달한 청원서에서 “부처님의 대자대비 정신을 따라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과 복권을 간절히 청한다”며 “조국이 하루빨리 가족과 국민의 품으로 돌아와 대통령님과 함께 진정한 국가 혁신의 길에 동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사면이 정치적 타산의 산물이 되지 않고 분열을 넘어선 대화, 갈등을 넘어선 공존의 상징이 되기를 간절히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을 향한 종교계의 청원에 앞서 정치권·법조계 목소리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조 전 대표와 그의 가족은 이미 죗값을 혹독하게 치렀다”며 사면을 건의했다. 강 의원은 “그가 정치를 하지 않았다면, 검찰 개혁을 외치지 않았다면, 윤석열을 반대하지 않았다면 이런 일을 당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어찌 보면 이 대통령이 겪었던 정치 검찰의 표적 수사와 판박이”라고 주장했다. 우원식 국회의장도 지난 9일 조 전 대표를 직접 면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학계에서도 움직임이 확인됐다.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을 비롯한 법학 교수 34명은 지난 10일 조 전 대표 사면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대통령실에 제출했다. 이처럼 여러 영역에서 탄원서가 잇달아 접수되면서, 정치적 논란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신중함을 유지하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각 종교 지도자들,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각계각층에서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 요청 탄원서가 접수된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관세 협상에 매진하고 있어 정치인 사면 검토를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았다”며 “광복 80주년을 맞이한 민생 사면은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도 “사면권 논의가 이뤄진 바 없다”며 “사면은 대통령 고유 권한으로,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내릴 수 있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대선·총선을 계기로 국민통합이나 정파 갈등 완화를 명분으로 한 사면 논의가 계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반론과 찬반 여론 역시 팽팽히 맞서고 있어, 대통령실의 최종 결정까지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와 각계 인사들은 향후 대통령의 움직임에 주목하며 논의의 방향을 가늠하고 있다. 정부는 공식적으로 “정치인 사면은 아직 논의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우선 민생 사면부터 준비에 집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