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4000억 의혹 수사 무게”…하이브 흔든 단호한 귀국→취조실 진실 공방
하이브의 심장이라 불리던 방시혁 의장이 결국 본인 이름을 건 단호한 선택으로 논란의 중심에 다시 섰다. 미국 체류 중이던 방시혁이 귀국의 문을 열자, 경찰과 검찰의 시선이 촘촘하게 얽히며 한층 진지한 분위기가 서울 종로구 청사와 용산구 본사를 중심으로 펼쳐졌다. 세월의 무게와 음표의 꿈 사이에서, 방시혁은 하이브 상장을 둘러싼 4000억 원대 부정거래 혐의를 직접 해명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경찰은 이미 하이브와 한국거래소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마쳤고, 방시혁의 귀국으로 빠르게 수사가 전환점을 맞이했다. 경찰 관계자는 “귀국 일정은 경찰과 맞춘 것”이라며 방시혁의 진술이 본격적으로 사건의 실마리를 풀 주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한편 하이브는 “수사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다. 이미 방시혁은 내부 구성원에게 장문의 입장문을 통해 “급한 업무를 미루고라도 빠른 귀국을 선택했다”며 사건의 엄중함을 명확히 전했다. 그는 “상장 당시 상황을 세세히 소명할 것”이라는 약속을 거듭 밝혀, 진실 규명과 정면 돌파의 여운을 남겼다.

방시혁이 받은 혐의는 단순한 절차 위반이 아니라, 투자자를 속여 사적 이익을 취했다는 사기적 부정거래다. 하이브 상장 의사가 없다고 말한 뒤, 지인이 설립한 사모펀드에 지분을 팔아 4000억 원의 이득을 챙긴 것으로 지적됐다. 더욱이 이 계약 사실마저 하이브 증권신고서에 빠져 있었다는 의혹이 가중되며, 연예 및 금융업계 모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경찰은 “이익이 50억 원을 넘으면 5년 이상 징역이나 무기징역도 가능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부정이익의 규모에 따라 최소 1조 원이 넘는 벌금도 예상돼, 하이브는 사상 초유의 위기 국면에 놓였다.
국세청 조사4국도 서울 용산구 하이브 본사에 예고 없이 대규모 인력을 투입해 회계자료를 일괄 예치하는 등, 기획조사에 돌입했다. 이곳은 통상적으로 엄정한 범죄 혐의 기업들을 상대로 움직이는 ‘저승사자’로 통하며, 하이브 대응팀은 김앤장 법률사무소와 함께 전방위 방어에 나서는 실정이다. 현재 경찰 수사는 금융감독원 특별사법경찰관과 공동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이브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계속되고 있다.
방시혁 의장을 둘러싼 4000억 원대 부정거래 의혹은 단순한 기업 스캔들을 넘어 스타 산업 구조의 본질적 한계와 윤리에 물음을 던지고 있다. 그가 선택한 진실의 무게와 하이브의 운명은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단단한 파문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