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안의 작은 차이가 더 큰 갈등이냐”…정청래·김병기, 민주당 투톱 일단 봉합 모색
투톱의 갈등이 노출된 더불어민주당 내 긴장감이 여전하다.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는 3대 특검법 합의 번복 사태를 계기로 대립각을 세웠으나, 지도부와 당내 다수의 우려 속에 표면상 봉합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호간 감정의 골과 냉기류가 물밑에서 이어지며 살얼음판 정국을 연출하는 양상이다.
12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대표는 전날 특검법 개정안을 기존 합의안대로 처리한 점을 두고 “결국 역사는 하나의 큰 물줄기로 흘러간다”며 “우리 안의 작은 차이가 상대방과의 차이보다 크겠느냐”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어 “우리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생사고락을 함께한 전우이자 동지”라며 동료애를 강조했다. 정 대표의 발언은 사실상 김병기 원내대표를 향한 손짓으로, 투톱 갈등을 수면 아래서라도 봉합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됐다.

지도부와 당내 주류 인사들도 분열 장기화를 경계했다. 특히 한 친명계 의원은 “원내 지도부가 대통령의 협치 주문에 부응하려다 기술적으로 어긋난 것”이라며 “근본적으로 큰 문제는 없고, 김 원내대표 사퇴론은 전혀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이날 김병기 원내대표 역시 추가 확전을 자제했다. 최고위원회의 참석 여부를 두고 항의성 불참설이 돌았으나, 그는 정 대표 옆자리에 나란히 앉고 회의에도 모두 참여했다.
그러나 두 사람 간 서로 서먹한 분위기는 계속됐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정청래 대표의 화해 메시지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미주 한인 구금 등 다른 현안만 거론한 뒤 곧장 회의장을 떠났다. 민주당 지도부 내에선 “정 대표가 원내 사안에 월권하고, 지지층 반발이 예상보다 거세자 김 원내대표에게 책임을 돌렸다”는 비판도 감지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초선 의원은 “여야 협상 내용이 사전에 발표되는 과정에서 미숙함이 있었지만, 일이 벌어지자 정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빠져나가는 모습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말하며 내부 견제 기류를 내비쳤다. 실제로 전날 저녁 정 대표가 제안한 만남을 김 원내대표와 원내지도부가 거부하는 등, 당내 감정의 골은 쉽게 아물지 않고 있다.
일부 지도부는 “오해나 섭섭함이 하루 이틀 만에 풀릴 수는 없다”면서도 “리더 정치인들이 털어내고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도부 내에선 김병기 원내대표의 협상 방식과 통솔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추미애 의원은 “법사위 사전 보고 동의 논란은 유감”이라며 재차 문제점을 짚었고, 이언주 최고위원은 김 원내대표의 국가정보원 경력에 빗대 “대야 협상에서 시간을 끄는 태도가 부족했다”고도 언급했다.
정부조직법 개편안 등 주요 개혁 입법이 쏟아질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가 임박하며, 지도부 갈등은 국정운영 동력 저하로 번질 수 있다는 위기론이 확산됐다. 일각에서는 양측 감정적 앙금이 쉽게 풀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여전히 민주당 리더십의 안정성을 두고 시선이 쏠린다.
이날 국회는 지도부 간 불협화음을 봉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정치권은 여야 대치 상황과 내홍의 불씨가 언제든 재점화될 수 있다는 경계심을 내비쳤다. 민주당은 조직 재정비와 내부 소통 강화 필요성이 한층 부각된 가운데, 향후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인 개혁 입법 논의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