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당시 행동 정당했다”…안성식 전 기획조정관, 해경 국감서 내란 가담 의혹 정면 답변
계엄령 부화수행 혐의를 받는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과 해경 조직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강경한 대립이 이어졌다. 22일 진행된 해양경찰청 국정감사 현장에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라는 배경까지 언급되며, 안 전 조정관의 계엄 당시 행보와 최근 발생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둘러싸고 여야 의원 간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은 국감 증인석에 선 안 전 조정관을 향해 "계엄 선포 직후 ‘비상사태 대비해 총기 불출하라’, ‘계엄 사범이 많아질 테니 유치장을 비우라’고 했는데, 사전 모의나 지침 없이 실제로 이런 지시가 나올 수 있었는지" 질타했다. 임미애 민주당 의원도 수사팀이 확보한 기밀문건 관련 사항을 거론하며, "국군방첩사령부와 문건을 주고받으며 계엄사령부 편성계획 개정까지 관여한 정황이 드러났다"면서 해경 내 사전 인지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이에 안성식 전 조정관은 "계엄 당일 대통령이 TV를 통해 전 국민에게 계엄을 선포한 상황이었기에, 국무회의 등 적법한 절차를 거친 것이라 판단했다"고 밝혔다. "계엄선포문에 담기지 못한 추가 안보 사항이 있을 수 있다고 봤고, 명령이 주어졌으니 소관 기관으로서 필요한 조치를 준비할 수밖에 없었다"며 "지금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 해도 같은 선택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민주당 윤준병 의원은 지휘관의 명령이더라도 국민에게 위해를 끼치는 이상, 거부하는 양심적 판단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해 맞섰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2020년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두고도 정쟁이 격화됐다. 민주당 측은 문재인 정부 당시 해경이 ‘자진 월북’ 가능성을 발표한 뒤, 2년 만에 입장을 번복한 배경에 현 정부의 압력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고 질타했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 사건은 우리 국민이 북한 총격에 사망한 안타까운 사건이며, 정권을 가리지 않고 국민 생명 보호 대책이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정치권 내에서는 안성식 전 조정관의 계엄 당시 대응과 해경 조직 내부 인식, 그리고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재해석이 맞물리며 논란이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국회는 향후 후속 청문회와 관련 법안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