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DMZ 백마고지 유해발굴 3년 만에 재개”…국방부, 남북 긴장완화 행보 강조

허예린 기자
입력

비무장지대(DMZ) 내 6·25 전사자 유해발굴을 둘러싼 남북 간 군사적 대치의 긴장감 속에, 국방부가 3년 만에 백마고지 일대 유해발굴을 재개했다. 남북 협력의 상징으로 평가돼 온 DMZ 발굴 현장에서 다시 국군 및 유해 가족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방부는 10월 15일,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2022년에 중단됐던 강원도 철원 백마고지 일대 유해발굴을 오늘부터 재개했다"고 공식 밝혔다. 또한 "이번 발굴은 6·25전쟁 전사자 유해를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돌려보내고,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드는 실질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남북은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를 통해 강원도 철원지역 DMZ에서 전사자 유해를 공동 발굴하기로 합의하며 협력의 기반을 마련했다. 남측은 2019년 4월부터 DMZ 남측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발굴을 시작했다. 그러나 북측은 유해 발굴에 참여하지 않아, 사업은 사실상 남측 단독으로만 이뤄졌다. 이후 우리 군은 백마고지로 발굴 지점을 확대했으나, 2022년 11월 안보상황 악화 및 안전상 우려로 발굴 작업이 중단됐다.

 

행정안전부 집계에 따르면, 화살머리고지에서는 2019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유해 424구와 유품 10만1천816점, 백마고지에서는 2021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유해 67구와 유품 1만5천670점을 각각 발굴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유해발굴을 통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는 전사자가 늘어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발굴 재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남북 공동 발굴 본래 취지가 여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북한의 호응 없는 상황에서 남측 단독발굴이 반복되는 구조에 대해 일각에서는 실효성 논란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반도 화해와 평화지대화 상징적 의미가 크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유해발굴 재개가 향후 남북 관계 개선과 DMZ 평화 프로젝트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국방부는 당분간 DMZ 내 백마고지 지역을 중심으로 발굴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방부#백마고지#6·25전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