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복구 총력전”…행안부, 화재 사태에 백업·이중화 강화로 전환점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이 일시적으로 마비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가 국내 IT 인프라 관리 체계의 근본적 변화 신호탄으로 작용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전체 정보시스템 백업과 이중화 강화 등 복구와 재발 방지에 역량을 집중하며, 전산망 복구를 위한 태스크포스(TF)까지 가동 중이다. 이번 사태의 파장이 정치·정책적 공방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업계는 향후 국가 전산 인프라의 안정성 확보 경쟁이 본격화될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9월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다수의 공공 정보시스템이 장애를 겪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정보시스템 복구와 재난관리 체계 전면 재설계를 강구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수석을 중심으로 한 TF가 백업과 이중화 등 시스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역시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설치 및 이설 과정의 관리 미비’를 공식 인정하며, 입찰·계약 등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핵심 쟁점인 데이터 백업과 서비스 이중화는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등 IT 자원의 지속적 가용성 보장을 위한 필수 기술로 꼽힌다. 기존에는 일부 핵심 데이터만 주기적으로 복제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 클라우드 기반 분산 백업, 다중센터 실시간 동시 운영 등 글로벌 수준의 고도화된 안전망 구축이 요구되는 추세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백업-복구 시뮬레이션 빈도를 높이고, AI 기반 이상징후 조기 감지 체계까지 본격 도입하는 분위기다.
국내에서는 이번 사고 이후 정부 차원에서 장애 복구체계와 재난대응 매뉴얼 개편을 선언했고, 업계와 전문가들은 고도화된 시스템의 조기 도입과 법제화 필요성에 입을 모은다. “기존 대응 수준과 체계만으로는 대규모 재난 리스크에 맞서기 어렵다”는 현실 인식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다만,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 보안 인증 일원화, 개인정보보호 법령·데이터 이동성 규제 완화 등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 미 연방정부와 영국 NHS처럼, 공공 IT 인프라의 분산 운영·안전성 표준화 움직임이 강화되는 것도 주목된다.
윤호중 장관은 “모든 역량을 동원해 복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시스템 이중화·백업 체계 고도화, 재난 예측 AI 도입 등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전산망 장애 사건이 산업과 사회 전반의 안전 패러다임 전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며, “시스템 안정화와 전사적 IT 자원 관리 강화가 곧 국가 경쟁력에 직결되는 시대”라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IT 인프라의 재정비와 전방위 정책 변화가 이루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