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위 독립 지켜줘야”…여상원 국민의힘 윤리위원장, 사퇴 의사 표명에 정치권 파장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을 맡아온 여상원 위원장이 당 내 이견과 지도부 연락 끝에 사퇴 의사를 밝혔다. 친한동훈계인 김종혁 전 최고위원의 징계 결정을 놓고 윤리위원회와 당 지도부 간 의견충돌이 불거지면서 관련 갈등이 다시 정치권의 도마에 올랐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17일, 당 관계자가 빠른 시일 내 사퇴 의사 표시를 요구했다는 사실을 직접 언급하며 “스스로 그만두겠다고 한 것은 아니다. 연락을 받고 이번 달까지 정리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의 임기는 내년 1월 8일까지로 남았으나,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 퇴진 수순에 들어간 셈이다.

최근 윤리위원회는 방송과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서 계파 갈등을 유발했다는 이유로 징계 심의를 받은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해 ‘징계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고,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다양한 해석과 논란이 제기됐다. 여상원 위원장은 “정치적 견해 표출은 민주 국가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윤리위 소신을 피력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전날 한 유튜브 채널에서 “해당 결정은 내가 대표가 되기 전 행위에 대한 결과로 안다. 이후 행위에 대해선 또 다른 조치가 나올 수 있다”며 윤리위 결정과 지도부 기조의 다름을 강하게 시사했다. 이와 달리 윤리위는 내부 자율성과 결정을 강조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여상원 위원장은 “힘든 자리인데 굳이 버틸 이유가 없다”며 자리를 내려놓는 데 부담이 없음을 시사했다. 그는 또 “민주 정당에서 다른 의견이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가 민주당을 비판하려면 먼저 당내 민주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내 사법기구인 윤리위의 독립도 지켜져야 한다”고 하며, 조직의 소신과 원칙을 재차 밝혔다.
이번 여 위원장의 중도 사퇴를 두고, 국민의힘 지도부가 윤리위원회를 친한계 정리의 돌파구로 삼으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윤리위원회 개편 및 향후 당내 계파구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여상원 위원장 사퇴 수습과 함께 새 윤리위원장 인선 등 윤리위 구성 방안을 조속히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