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정상회담 공식 발표”…뉴욕증시 상승, 무역 긴장 완화 기대
현지시각 23일, 미국(USA)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미·중 정상회담 일정이 공식 발표되자 3대 주요 지수가 동반 상승했다. 이번 조치는 무역갈등 완화에 대한 기대를 높이며 투자자 심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중 간 불확실성이 완화될 가능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시장은 무역정책뿐 아니라 글로벌 경기 전망에도 주목하고 있다.
현지 시간 23일,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31% 상승한 46,734.61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58% 오른 6,738.44, 나스닥종합지수는 0.89% 상승한 22,941.80을 기록했다. 시장의 상승 전환 배경에는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일정을 공식화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양국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일본(Japan), 한국(Korea) 방문 이후 오는 30일에 별도의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 같은 회담 확정은 무역협상 교착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며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백악관 발표 직후 S&P500지수는 10포인트 이상 추가 상승했으며, 미국 정부가 자국 소프트웨어 대중 수출제한을 일부 완화하는 분위기를 보인 것도 시장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에너지 시장에서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5% 넘게 상승했지만, 물가상승 압력보다는 무역협상 진전에 시장의 초점이 맞춰졌다. 대형 기술주 및 반도체주의 강세도 두드러졌다. 테슬라(Tesla)는 3분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2% 이상 반등했고, 오라클(Oracle)은 2.72% 오르며 시가총액 8천억달러 회복에 근접했다. 아메리칸항공(American Airlines) 역시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5% 넘게 급등했다. 업종별로 에너지, 산업, 소재 및 기술이 강세를 보였으며, 인공지능(AI)과 반도체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54% 오르며 최근 낙폭을 만회했다.
거시경제 지표도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는 연내 50bp 금리인하 가능성이 91.9%까지 높아졌다는 집계가 나왔다. 변동성지수(VIX)는 전일 대비 6.99% 하락하며 시장 안정 흐름을 반영했다. 팩트셋(FactSet) 등 금융정보업체에 따르면 S&P500 상장기업 가운데 80% 이상이 시장예상치를 뛰어넘는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고 집계됐다.
월스트리트저널(The Wall Street Journal) 등 주요 매체는 미·중 정상이 직접 마주 앉는 계기가 최근 불확실한 글로벌 경기에 ‘심리적 전환점’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서는 정상회담 직전 돌발 변수에 대한 경계심이 여전히 잔존해 있다는 분석도 뒤따른다.
전문가들은 양국 정상회담이 실제 협상 재개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된다며, 글로벌 증시 및 공급망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국제사회는 이번 미·중 정상회담 발표가 실질적 무역분쟁 완화로 이어질지 여부에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