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슈퍼크루즈 혁신 가속”…GM, 첨단 핸즈프리 기술로 한국 시장 공략→경쟁 구도 변화

신채원 기자
입력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본격적으로 자율주행 시대의 초입에 들어선 가운데, GM이 첨단 핸즈프리 운전자 보조 시스템인 ‘슈퍼크루즈’를 국내에 공식 도입하며 한국 시장에 명확한 전략적 행보를 드러냈다. 국내 최초로 라이다 기반 정밀 지도와 융합된 슈퍼크루즈 도입은 단순한 운전 편의성 확대를 넘어, 자동차 업계의 첨단화와 경쟁 구도의 재편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GM은 1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슈퍼크루즈를 캐딜락 신모델에 최초 적용한다고 밝혔다. 슈퍼크루즈는 라이다 기반의 고정밀 지도와 GPS, 카메라, 레이더를 결합한 주행 지원 기술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잡지 않아도 주행이 가능하다. 100억원을 투입해 구축한 2만3천㎞ 규모의 정밀지도 덕분에 국내 모든 고속도로와 주요 간선도로에서 시스템이 작동된다. 또한 자동 차선 변경, 운전자 모니터링 등 동급 최고 수준의 안전 기능이 탑재됐다.

슈퍼크루즈 혁신 가속…GM, 첨단 핸즈프리 기술로 한국 시장 공략→경쟁 구도 변화
슈퍼크루즈 혁신 가속…GM, 첨단 핸즈프리 기술로 한국 시장 공략→경쟁 구도 변화

특히 한국 도로에 특화된 기술적 조정이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미국 도로에 없는 버스전용차선, 도로공사구간 정보가 지도에 반영됐으며, 지도 정보의 국내 서버 저장과 신속한 데이터 제공 인프라가 마련됐다. 국내 인증에 대해서도 한미 FTA 내 협약을 준수해 절차를 간소화했으며, 올해 캐딜락을 시작으로 GM의 타 브랜드로 점진적 확대가 예상된다.

 

GM 측은 슈퍼크루즈가 북미에서는 이미 8억7천700만㎞의 누적 주행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지구 2만2천 바퀴에 해당하는 거리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첨단 기술 투입이 한국 시장에서 자율주행·운전자 지원 기술 경쟁을 한 단계 심화시킬 것으로 내다본다. GM의 대규모 투자와 기술 현지화 전략은 국내 자동차 산업에 새로운 도전과 변화를 안길 것이라는 평가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gm#슈퍼크루즈#한국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