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 혐중 시위, 국익·품격 훼손”…여론조사서 65.4% 공감, 20대 남성만 반대 다수
극우단체의 혐중(반중국) 시위가 우리나라 국익과 품격을 훼손한다는 주장에 대해, 다수 국민이 공감 입장을 보였다. ‘여론조사꽃’이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조사(CATI) 결과, ‘공감한다’는 응답은 65.4%로 집계됐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2.0%에 그치며 양측 간 격차는 33.4%포인트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는 지역·세대·이념·정당지지층에 따라 온도차가 뚜렷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공감’ 여론이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에서 76.9%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강원·제주 73.8%, 경인권 69.0%, 충청권 67.5%, 부·울·경 62.8%, 서울 61.8%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비공감’ 50.8%, ‘공감’ 46.5%로 오차범위 내에서 상반됐다.

연령별로 40대(84.1%)와 50대(79.9%)가 가장 높은 공감을 보였고, 60대(68.0%)와 30대(60.8%)도 과반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반면 18∼29세, 70세 이상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으며, 특히 18∼29세 남성과 70세 이상 여성에서 비공감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 67.4%, 여성 63.4%로 모두 다수의 공감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뚜렷한 대조가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86.5%는 ‘공감한다’는 답변을, 국민의힘 지지층의 61.4%는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택했다. 무당층 역시 ‘비공감’이 51.3%로, ‘공감’ 40.3%를 앞섰다. 이념성향별로 진보층(80.2%)과 중도층(73.7%)은 공감 응답이 압도적이었으나, 보수층에선 비공감 54.6%, 공감 42.4%였다.
같은 기간 진행된 ARS조사 결과(전국 1,011명, 무선 RDD), ‘공감한다’는 응답은 64.2%,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1.8%로 유사했다. ARS 기준 지역별 공감률 역시 호남권(74.1%)이 가장 높고, 강원·제주(70.1%), 경인권(66.7%), 서울(66.5%), 충청권(59.8%), 부·울·경(58.5%), 대구·경북(53.3%) 순이었다. 연령별로도 30대 이상에서 과반 이상이 동의했다. 50대(82.5%), 40대(75.1%), 60대(66.8%), 70세 이상(58.9%), 30대(57.5%) 순이며, 18∼29세에서는 ‘비공감’이 우세했다. 특히 18∼29세 남성의 경우 71.9%가 비공감했다고 답했다. 30대 남성은 공감과 비공감이 대등하게 갈렸다.
정치권에서는 이같은 데이터가 정당 지지 기준으로 뚜렷한 인식 차를 반영한다고 해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공감’이 91%에 달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 70.8%는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 84.1%, 중도층 66.0%가 공감했지만, 보수층은 비공감(53.5%)이 절반을 넘었다.
전문가들은 "지역, 세대, 이념, 정당지지에 따라 대한민국의 정치 인식 분할이 더욱 굳어지는 모습"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20대 남성과 보수층에서 해당 시위에 대한 상대적 지지가 높게 나타난 점이 주목받는다. 이런 흐름은 사회통합 측면에서 과제임과 동시에, 정치권의 양극화 구도 심화와 민심 분출 가능성의 신호로 해석된다.
정치권은 국익과 사회 통합을 둘러싼 혐중 시위 논란에 강하게 맞서며, 각 진영의 노선 차이가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향후 국회와 주요 정당들이 해당 이슈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