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격노 회의 배석 논란”…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29일 해병특검 피의자 소환
채상병 사건을 둘러싼 수사방해 의혹이 다시 정치권 충돌의 중심에 섰다.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오는 29일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하기로 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직접 언급된 '격노' 회의의 내막에 대한 진상 규명이 예고됐다. 특검은 조 전 원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로 불러 대통령 지시 전달 및 사건 개입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특검팀 관계자는 28일 서초동 특검사무실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에 조태용 전 원장이 배석했다"며 "채상병 수사 결과가 대통령에게 어떻게 보고됐고, 윤 전 대통령이 어떤 반응과 지시를 했는지, 그 지시가 수사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윤석열 당시 대통령의 격노 발언과 함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혐의 포함 보고 후, 조 전 원장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만 남겨 둔 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별도로 전화를 걸었다는 정황도 드러난 상태다.

조태용 전 원장은 사건기록 회수 등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지난해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이 상부의 지시를 거부하고 경찰 이첩을 강행한 당일, 조 전 원장이 이종섭 전 장관과 전화 통화를 한 기록이 확인되면서, 경로의 개입 가능성이 더욱 부각됐다. 또 특검팀은 이미 조 전 원장 자택을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자료를 확보했으며, 수사 진행상황이 향후 정치권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소환 조사를 놓고 첨예한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통령 지시의 정당성 여부와 외압 가능성을 두고, 야권이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반면, 여권은 “정상적 보고·의사결정 절차”임을 강조하며 특검의 과도한 의혹제기에 반박했다. 해병대 내부와 유가족 중심의 진상 규명 목소리도 다시 거세지고 있다.
이명현 특검팀은 조 전 원장 소환조사 결과에 따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한 사건 관계인 추가 조사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해병대 채상병 사건 관련 수사 방해 의혹은 올해 정치 정국을 흔든 대표적 현안으로, 향후 수사 결과 발표 시 여론의 흐름과 정당별 입장에 따라 파장이 클 전망이다.
특검은 조태용 전 원장 조사 이후 추가 압수수색 및 고위 관계자 조사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