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는 국가 전략 자산”…이강근 이스라엘한인회장, 협업·정체성 정책 제언
재외동포 정책 구상이 정치적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강근 이스라엘한인회장이 ‘재외동포는 대한민국의 핵심 전략 자산’임을 강조하며, 이스라엘식 정책 모델을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 공식 발언이 나온 가운데 유기적 협업 필요성과 한인의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이 정국 과제로 제기되는 양상이다.
이강근 이스라엘한인회장(예루살렘 유대학연구소장)은 1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2025 세계한인회장 대회’ 계기 인터뷰에서 이같이 발언했다. 그는 “이스라엘은 디아스포라를 단순 이주민이 아닌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 자산으로 인식한다”며 “한국도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을 전략 차원에서 재설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이스라엘 정부의 ‘청소년 디아스포라 정책’을 국가 수준 전략으로 끌어올린 점을 언급했다. “외교부, 이민부, 유대인청, 세계 시온주의 기구(WZO) 등 네 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해 정체성 교육, 모국 방문, 귀환 및 정착 지원까지 일관된 체계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체성을 단순 문화교육에 그치지 않고 국가 발전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라며, 한국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강조했다.
아울러 “부처 간 유기적인 협업이 필수적”임을 지적했다. 현행 한국 정책은 교육, 외교, 정착지원이 각기 흩어져 있어 연계력이 약하다는 지적이다. “부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동돼야 재외동포 정책이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스라엘은 모국 방문 이후에도 청년 커뮤니티를 유지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로 발전시킨다”며, 한국 역시 제도적 뒷받침 아래 국내외 청년 네트워크 구축과 인턴십, 창업 연계가 필요함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역방향 리더십 파견’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이스라엘의 ‘슐리힘’처럼 한국 청년 리더를 해외 한글학교, 현지 한인 단체에 파견해 정체성 교육을 담당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청년 리더십 훈련과 현지 한인 공동체 지원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 회장은 지난 6월 이스라엘-이란 전쟁 당시 한인 사회의 연대와 긴급 대응 경험도 언급했다. “새벽 4시부터 도시락을 준비해 피난길에 올랐고, 국경에서 이집트 한인회의 도움을 받아 깊은 연대를 느꼈다”고 전했다. 주이스라엘 한국대사관이 요르단·이집트 대사관과 협력해 국경통과 및 차량 지원에 나섰고, 교민 피난 비용은 명성교회의 지원금 등으로 충당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경험에서 한인회 간 연대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일,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 이집트 등 5개국 한인회가 모여 ‘레반트 한인총연합회’가 창립됐고, 그가 초대 회장을 맡았다. 지역 안보 위협이 일상인 만큼 “한인회 간 정보 교환과 공동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설명이다.
정치권과 재외동포 정책 주무 행정기관에선 국내외 한인 네트워크의 제도적 뒷받침, 부처 협업체계 구축, 청년 리더십 파견 방안 등을 공식 검토할지가 향후 과제로 남았다. 정부는 이강근 회장 등 현장 목소리를 참고해 재외동포 정책 종합 개편안을 모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