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갑착용 이견에 한미 막판 줄다리기”…조현·박윤주, 미 구금 사태 해법 뒷이야기
급박하게 맞붙은 미국 내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과 박윤주 1차관이 동시에 현지에 파견되며 외교적 긴장감이 극대화됐다. 이번 사안을 두고 외교 수뇌부가 이례적으로 동시 투입되는 등 양국의 입장 차가 극명히 드러난 가운데, 수갑 착용 문제 등 주요 쟁점을 둘러싼 막후 협상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11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조현 외교부 장관은 8일 워싱턴으로 출국해 10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등과 면담하며 협상에 나섰다.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하루 뒤인 9일 애틀랜타 현지로 향해, 현장대책반과 신속대응팀의 실무 전체를 총괄했다. 외교부 수뇌부가 동일 사안으로 동시 미국 출장을 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외교부는 상황의 엄중함을 반영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주요 쟁점은 구금된 한국인들의 본국 송환 과정에서 불거졌다. 특히 10일 애틀랜타 공항에서 전세기 탑승이 예정된 상황에서, 한미 양국은 ‘공항 이동 중 수갑 착용’ 문제를 끝까지 조율하지 못했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은 “신체 구속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고수했다. 한국 측은 “추가적인 수갑 착용 불가” 입장을 끝까지 주장했다. 이는 체포 당시 쇠사슬 결박 영상에 충격을 받은 한국 사회 여론을 감안한 결정이다. 수갑 찬 모습까지 재차 노출되는 것을 한국이 강하게 경계한 셈이다.
협상 상황은 미국 현지에서도 긴박했다. 9일 저녁 미국 당국이 돌연 구금자 개인 소지품 배부 절차를 중단했고, 구체 사유는 ‘윗선 지시’라는 답변만 나왔다. 전세기 출발 일정까지 흔들릴 수 있었던 상황이다. 외교 소식통들은 “미국 당국의 내막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지시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는 조현 장관이 10일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에서 확인한 내용이다.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 요구대로 최대한 신속히 협의하라’고 지시했다”고 구체적으로 밝혔다.
결국 양국은 박윤주 차관의 현장 조율 하에 ‘공항 이동 중 수갑 미착용’ 원칙에 합의했다. 이로써 애틀랜타 공항 전세기를 통한 한국인 송환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었다. 박 윤주 차관은 과거 애틀랜타 총영사를 지낸 경험까지 살려 현장 대응의 적임자로 꼽혔다. 박 차관은 직접 구금된 국민들과 함께 인천공항에 들어올 예정이다.
외교부는 “조현 장관이 루비오 장관과 회담을 통해 이번 사태의 해법을 최종 매듭지었다”며 “향후 한미 비자 협력 등 장기 현안에서도 실질적 진전을 위한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박윤주 차관을 급파해 외교부 신속대응팀을 보강하는 등 신속하고 안전한 귀국에 외교력을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치열한 외교전 끝에 한미 양국은 오는 비자 이슈 등 장기적 관계 설정에도 의미있는 시그널을 주고받았다. 정부는 향후 유사 사태 발생 시 매뉴얼 마련과 쌍방 협의 강화를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