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디테일, 한계 넘는다”…넷플릭스, 케이팝 기반 창작 공식 재정립
3D 애니메이션 기술이 글로벌 콘텐츠 산업 판도를 전환하고 있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가 주도하는 창작공정 혁신은 한국 원천 IP의 산업적 파급력을 재조명하며, 3D·AI 융합과 케이팝 문화의 결합이 차세대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미치는 영향을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이 디테일 중심 제작의 전환점이 될지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데헌은 6년간의 기획과 제작기간, 3D 모델링 전수공정, 그리고 케이팝과 AI 댄스 시뮬레이션의 협업으로 ‘서울’ 풍경과 생활문화를 입체적으로 구현했다. 강 감독은 “애니메이션 제작은 제로부터 모든 요소를 설계하는 일”이라며 “냅킨 위 젓가락 등 세밀한 생활 디테일을 통해 글로벌 관객과의 공감대를 높였고, AI 기반 케이팝 퍼포먼스 모션 캡처 및 OST 빌보드 차트 진입 등은 오직 기술적 진보와 콘텐츠 융합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특히 여성 캐릭터의 다양한 표정·행동 패턴, 26벌에 달하는 의상 자동변환 등은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개발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원화·이미지웍스 3D 해석, 매기 강 감독의 디테일 철학이 결합해, 국내 최초로 실시간 AI 댄스 시퀀스 편집 시스템을 현장 적용했다. “기존 미국·일본 작품과 비교해, 한국적 소재 구현과 캐릭터 다변화로 오리지널리티를 강화했으며, 케이팝 IP의 활용 범주도 한층 넓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성과 측면에서, 이번 작품은 K-애니메이션의 전세계 유통공식까지 바꾸고 있다. 트와이스 등 글로벌 케이팝 아티스트 참여, AI 속도 기반 OST 제작, 3D 플랫폼 병행 등은 실제로 글로벌 OTT에서 최초 사례로 꼽힌다. "기존 대량생산형 일본 애니메이션과 달리, AI·3D 기반 대규모 IP 확장 전략이 ‘OTT 오리지널’ 중심으로 본격 안착되는 분기점"이라는 업계 평가도 높다.
현재 미국·일본에서도 유사한 3D·AI 애니메이션 융합 사례가 잇따르지만, 국내에서는 넷플릭스-소니픽처스 등 외국 자본 및 기술과의 협업이 산업 내재화의 과제다. 한국 내 자체 3D 모델러 및 AI 기반 스토리텔링 플랫폼의 부족, 저작권·글로벌 배급 규제 등 현장 진입장벽이 여전히 지적된다.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공개된 케데헌은, 크리에이티브 아시아 등 ICT·콘텐츠 산업 교류 플랫폼에서 창작자-기술-투자자 간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는 단초로도 평가된다. KEIT, 방송통신위원회, 문체부 등은 K-콘텐츠의 디지털 전환 지원과 관련 데이터 규제 완화 정책을 지속 추진 중이다.
전문가들은 “AI·3D·K팝 융합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OTT 플랫폼 시장에서 산업 성장의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며 “국산 IP의 기술 내재화, 윤리성과 데이터 정책의 균형, 그리고 글로벌 협업 플랫폼 구축이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과 융합 공식이 세계 시장에 실질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