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가정보시스템 재배치”…정부, 대구센터 20개 시스템 이전 논의

송다인 기자
입력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대규모 장애를 겪은 국가 주요 정보 시스템의 복구와 인프라 재설계에 속도를 내고 있다. 17일 소방청 등 5개 부처와 협의해 대구센터로 옮길 20개 시스템의 복구 방안을 세밀히 조율하며, 남은 복구작업의 신속한 마무리를 꾀한다. 업계와 공공기관은 이번 사태가 공공 IT 인프라 이중화의 필요성을 다시 부각시킨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화재는 전국 총 709개 정보 시스템에 장애를 초래했으며, 16일 기준 325개가 복구됐다. 1등급, 2등급 핵심 시스템의 정상화율은 각각 77.5%, 57.4%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 주요 행정 서비스가 지난 13일부터 현장에 복귀했다. 정부는 국민 일상과 직접 연관된 정보시스템 288개는 이달 말까지, 기타 76개는 11월 20일까지 단계적으로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남아있는 20개 시스템에 대해서는 대구센터로의 물리적 재배치를 통해 복구를 추진한다.

이번 복구는 단순한 데이터 이전을 넘어 민간 클라우드 활용, 장비 확충, 데이터 스토리지의 분진 제거 등 복합적 대응이 이뤄진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추가 장비 도입과 스토리지 클린업으로 신속하게 데이터 복구를 맡고 있다"고 강조했다. 소방청, 보건복지부, 행안부, 조달청, 기후환경에너지 등 각 부처와의 협업이 긴밀하게 이뤄지는 중이다.

 

정부는 시스템 등급 조정, 백업 솔루션 강화, 근본적 인프라 이중화에 대한 제도적 개선도 병행한다. 관계 부처와 협의해 국민 생명·안전과 직접 연관된 일부 시스템의 등급상향도 적극 검토해, 장애 발생 시 피해 확산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정보시스템 관리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정책적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는 클라우드 전환과 AI 기반 인프라 거버넌스 구축이 공공 IT 인프라 생태계의 핵심이라는 점을 다시 환기시켰다. 대통령실 중심의 AI 정부 인프라 혁신 태스크포스(TF)가 본격 가동되고 있으며, 민·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통해 사전 백업부터 클라우드 기반 재설계 방안까지 종합적으로 논의 중이다.

 

미국과 일본, 영국 등은 이미 대규모 공공시스템 이중화와 클라우드 백업 구축을 단계적으로 마친 상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내 역시 공공 부문 IT 인프라의 신속한 이원화, 데이터 복구 체계 현대화, 민관 협업 거버넌스 강화가 산업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제 복구 속도뿐 아니라, 미래 재해·사고 대응에 있어 공공 IT 인프라 체계 전반의 구조 혁신이 중요한 분기점이 됐다"고 평가한다. 정부와 업계는 관련 제도 개선이 현장에 얼마나 빠르게 안착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