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전산망 복구율 74%”…국정자원, 525개 시스템 정상화로 전환점

문수빈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마비됐던 정부 전산망의 복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주요 공공기관의 홈페이지와 핵심 서비스가 단계적으로 재가동되면서 IT 기반 공공서비스의 신뢰 회복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 26일 행정안전부는 오후 6시 기준 정부 전산망 709개 시스템 중 525개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전체 복구율은 74%로, 하루 새 11개 시스템이 추가로 복구됐다. 

 

신규 복구된 시스템에는 교육부 대표 홈페이지와 영문·어린이 홈페이지, 사교육카르텔부조리, 학교급식정보마당 등 대국민 정보 제공 목적의 서비스가 포함됐다. 행정안전부의 재난관리업무포털, 통합 GIS(지리정보서비스), 소하천 관리 및 위기관리 매뉴얼 시스템도 정상 복구됐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디지털돌봄시스템, 원자력안전위원회 내부 포털 역시 복구 리스트에 올랐다.  

IT기반 시스템 가용성은 재난·재해 시 즉각적인 대응과 서비스 연속성 보장에 핵심이다. 복구 진척 상황을 등급별로 보면 1등급(사회 핵심 서비스) 시스템 40개 중 34개, 2등급 68개 중 54개, 3등급 261개 중 198개, 4등급 340개 중 239개가 정상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등급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복구율이 높으나, 여전히 1등급 시스템 6개, 전체로는 184개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았다.

 

특히 이번 화재는 데이터센터 설비 안정성이 공공 IT인프라의 신뢰성 핵심 변수임을 다시 부각시켰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은 클라우드 이중화, 재해복구센터 분산 배치로 서비스 중단 리스크를 줄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충분한 물리적·논리적 백업 체계와 함께, 재난 발생 시 업무 순서별 복구 우선순위 설정이 필수”라고 진단한다.

 

관계 부처는 국가 전산망의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24시간 체제로 기술 인력, 장비를 집중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장기화될 경우 공공서비스 차질과 함께 IT기반 행정 전반의 신뢰도 저하도 우려된다. 산업계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공 IT 인프라의 재해 복원력과 시스템 운영 프로세스에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 복구가 실제 시장과 국민 생활에 안전하게 안착할지 주목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정자원#교육부#행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