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필드 창원 토양오염 정보 공개하라”…민주노동당 경남도당, 창원시 측 압박
토양오염을 둘러싼 지역사회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민주노동당 경남도당이 창원시에 '스타필드 창원' 부지의 토양오염 관련 정보공개를 촉구하며 시와 유통 대기업 시공사 측이 비공개 결정을 내리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토양 정화가 완료됐다는 설명에도 주민 우려는 사그라지지 않는 분위기다.
민주노동당 경남도당은 7월 15일 논평을 통해 "최근 스타필드 창원 부지에 대한 토양오염 조사 현황과 정화 결과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를 했으나 시는 비공개 결정을 내렸다"며 "관련 정보를 즉각 공개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과거 군부대가 위치했던 만큼 부지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업 부지인 창원시 의창구 중동 729번지 일대는 현재 6천 가구가 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입주해 있는 상업용지다. 과거 육군 제39보병사단이 주둔했던 이력이 있다. 지역 사회 일각에서는 군부대 이전 부지라는 점에서 토양 오염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으며, 실제로 2019년에는 토양 정화 작업이 끝난 바 있다.
민주노동당 경남도당은 "정화가 완료됐다고 모든 우려가 사라진 게 아니다"라며 "주민 알 권리와 지역 환경에 대한 투명성을 위해 정보공개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는 단체, 법인, 개인의 경영상 이익을 해칠 가능성이 있을 때 관련자 의견을 청취해야 한다는 법 조항을 근거로 사업 관계자에게 의견을 물었고, 시공사 측이 정보공개를 거부해 비공개 결정을 내렸다고 해명했다.
창원시의 비공개 결정에 대해 지역사회와 노동계 일각에서는 반발이 커지고 있다. "시민 안전과 환경권 보장이 경영상 이익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비판이 이어지는 한편, 시공사와 행정당국의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이에 대해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우려 해소를 위한 투명한 절차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타필드 창원 부지 토양오염 정보공개를 둘러싼 갈등은 향후 시와 시공사, 시민사회 간 추가 논의로 확대될 전망이다. 창원시는 관련 법 규정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정보공개 요구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