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신선식품 다시 접수”…서비스 복구로 결제 간소화
우체국 신선식품 접수가 중단 5일 만에 정상화됐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보시스템이 마비되며 그간 신선식품·착불 소포 등 일부 우체국 서비스가 제한됐지만, 시스템 복구에 힘입어 신선식품 접수와 다양한 편의 기능이 재개됐다. 이용자들은 빠르게 카드 결제, 배달 안내 문자를 포함한 주요 부가 기능의 정상화로 서비스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이번 복구 발표를 “공공 IT서비스 신뢰도 회복의 분기점”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30일부터 전국 우체국에서 신선식품 접수를 공식 재개했다. 착불 소포, 안심소포 등 최근 중지됐던 서비스 역시 정보 시스템 복구와 함께 창구에서 다시 이용 가능해졌다. 우체국 소포상자도 기존 현금 결제 제한에서 벗어나 신용카드 구매가 가능하도록 개편됐다.
이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집배원 휴대단말기(PDA)를 활용한 배달예고·배달완료 문자 발송 기능이 전날 정상화돼, 배달 상황을 실시간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다만 명절 특별소통기간과 비슷한 수준의 배송 지연 가능성이 있는 점을 사전 동의한 경우에 한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한편, 정보 시스템 중단 기간 동안 창구에서 주소를 직접 수기 작성해야 해 대기 시간이 길어졌던 불편은 ‘간편사전접수’ 활성화로 개선됐다. 간편사전접수는 온라인 입력 후 창구에서 대기 없이 빠르게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로 인해 전체 프로세스의 업무 효율도 높아질 전망이다.
글로벌 물류 IT 산업에서는 시스템 장애에 따른 서비스 차질이 재산상, 신뢰도 측면에서 중대한 이슈로 꼽힌다. 주요 국가 우편 시스템 역시 정보 인프라 장애 시 우편, 금융 등 국민 생활 필수 인프라가 차질을 빚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신뢰 기반 서비스의 복구 프로세스와 IT시스템 복원 노하우가 경쟁력의 관건이 된다고 진단한다.
이번 시스템 복구로 우체국은 기존 대비 결제 수단과 서비스 접근성, 대기 시간 등에서 여러 개선 효과를 달성했다. 다만 명절이나 집중 물류 기간에는 한시적 서비스 지연 가능성을 상정하고, 사전 동의를 받는 방식이 병행된다. 우정사업본부는 “앞으로도 국민 불편 최소화 및 서비스 품질 개선에 계속 힘쓰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공공 IT 서비스의 체계적 복구 역량이 일상과 밀접한 생활 플랫폼의 서비스 안정성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한다. IT시스템 안전과 실시간 복구 체계 강화가 산업과 시민 모두의 신뢰 회복 열쇠가 된다는 진단도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