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상생 특산물 직거래”…식약처장, 자매결연 협력 강화
지역 경제와 공동체 상생이 공공기관의 전략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23년 9월 29일, 충청북도 제천시, 전라북도 순창군, 경상북도 상주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오송 지역 내 아동보호시설인 해오름집을 방문해 사회적 가치 실현에 나섰다. 이번 행사는 지역 특산물 생산자와 직접 연결해 ‘직거래 장터’ 형식으로 운영됐으며, 청사 직원 및 오송 지역 주민들이 현장에서 과일, 고추장 등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업계는 식약처의 이번 발표를 ‘지역 경제 협력 및 나눔 문화 촉진’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행사의 핵심은 공공기관과 지역 생산자가 대면하는 직거래 모델에 있다. 특산물 장터는 생산자가 직접 참여해 식품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한편, 유통 단계를 줄여 소비자는 신선한 상품을 합리적 가격에 구매할 수 있었다. 실제로 최근 지역 간 상생경제 모델이 정부기관 중심으로 다양하게 확산되는 가운데, 산지-소비지 간 직거래 플랫폼 효과도 눈길을 끌고 있다.

특산물 장터를 통한 현장 거래는 소비자 접근성과 생산자 판매 안정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식이다. 명절 분위기가 무르익는 시점에서 특산물 판매를 촉진해 지역 농가에 실질적 소득 기회를 제공했고, 참가자들은 신뢰 기반의 제품 구매 경험을 공유했다.
아울러 식약처장 오유경은 아동보호시설을 방문해 위문품을 전달하며 사회적 연대와 나눔의 가치를 실천했다. 업계에서는 이런 공공기관의 역할이 대국민 신뢰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지역 간 지속 가능한 협력 플랜이 새로운 공공정책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는 흐름도 감지되고 있다.
최근 유사한 협력 모델은 타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로까지 확산 중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지역 생산자와 공공기관의 파트너십을 통한 건강식품, 친환경 농산물 직거래 플랫폼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책 측면에서는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 식품 안전성 심사 절차 간소화 등 다층적 지원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공공기관이 중심이 된 지역경제 협력 모델이 각 지방의 자생력을 높이고, 사회적 가치 확산에 선순환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지역상생형 직거래 플랫폼이 전략적 정책 과제로 자리매김할지, 실질적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공동체 연결성과 경제적 지속 가능성 확보가 새 시대 공공정책의 핵심 축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