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대만산 제품 20% 관세 적용”…트럼프 미국(USA) 행정명령에 TSMC·정부 협상 분주
국제

“대만산 제품 20% 관세 적용”…트럼프 미국(USA) 행정명령에 TSMC·정부 협상 분주

송다인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8월 1일, 미국(USA) 정부가 대만산 제품에 20퍼센트의 관세를 새로 적용하는 행정명령을 발효하면서, TSMC 등 글로벌 전략기업들이 직접적 충격을 받고 있다. 이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달 31일자 서명으로 시행됐으며, 기존 32퍼센트에서 낮아진 수치지만 여전히 경쟁국에 비해 높은 관세로 시장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 대만은 이번 관세가 미국 측의 임시 통보에 불과하다며 최종 협상을 통해 추가 인하를 추진할 방침이다.

 

라이칭더(Lai Ching-te) 대만(臺灣·Taiwan) 총통은 4일 온라인 메시지를 통해 “미국은 대만 협상단에 20퍼센트 임시 관세를 통보했다”며 “최종 회의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로, 협상 결과에 따라 세율이 추가로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라이 총통은 대만 협상팀이 이미 네 차례 현지 실무 협상과 수차례 화상회의를 거쳤다고 설명하며, “국가이익과 산업안보, 국민건강, 식량안보 등 항목을 최우선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만은 정리쥔(Cheng Li-chun) 부행정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워싱턴에 보내 관세, 공급망,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 이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 중이다.

출처: 연합뉴스
출처: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는 상호관세율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미중 경제전략 경쟁 심화 속에 중국향뿐 아니라 대만·한국·EU 등 주요 파트너국에도 새로운 무역장벽을 일괏 제시했다. TSMC, 폭스콘 등 대만 대표 IT·반도체 기업들은 수출·투자 전략에 대한 조정 압박을 받고 있다.

 

이번 결정에 대해 대만 행정부는 “예상된 범위 내 조치”라는 공식 입장을 내면서도, “합리적인 세율에 도달할 때까지 미국과 실무협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내 산업계 일각에서는 대만산 칩 공급 차질과 비용 부담을 우려하고 있는 반응도 포착된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반도체 공급망 안정성과 경제안보를 둘러싼 미-대만 이익 충돌의 전형적 사례”라며, “장기적으로 미중 전략 경쟁 구도가 규제·관세정책으로 전이되는 분기점”이라고 평가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은 이번 조치가 국제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투자 흐름에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집권 이후 대중·대만 견제와 미국 제조업 회복이 동시 추진돼 왔다”며, “단기적 혼란 뒤 공급망 협력 확대, 관세·비관세 조정협상 등 복합 트랙으로 논의가 장기화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통상·안보 헤게모니를 둘러싼 주요국 간 협상전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만#트럼프#ts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