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인구 변화 협력에 방점”…외교부, APEC 2025 민관대화 송도 개최
정치

“AI·인구 변화 협력에 방점”…외교부, APEC 2025 민관대화 송도 개최

임태훈 기자
입력

정치적 협력의 교착 속에서 외교부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민관대화 개최를 공식화했다. 주요국 대표와 전문가들이 인공지능 및 인구구조 변화를 주제로 한반도에서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마련되면서, 한국의 의제가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외교부는 2025년 8월 4일 “APEC 2025 민관대화가 11일부터 12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번 대화는 우리나라가 오는 10월 경주에서 개최할 APEC 정상회의에 제시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인공지능(AI) 협력’을 핵심 의제로 삼고 추진되는 방안이다.

현장에서는 세계 주요 인구학, 정책, 기술 연구자들이 각각 인구 및 AI 세션에 참여한다. 11일에는 저출산·고령화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난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할 예정이다. 제니퍼 스쿠바 미국 인구참조국 대표, ‘알파 세대’를 최초 정의한 마크 맥크린들 호주 맥크린들연구소 소장, 윌렘 아데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회정책국 선임경제학자 등이 심도 깊은 논의를 예고했다.

 

이어 12일에는 가이 벤-이사히 구글 경제분야 연구 총괄,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카린 퍼셋 OECD AI정책연구소장이 AI 정책 협력의 국제적 방향성과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연설에 나선다. 외교부는 “정상회의의 실질적인 협력 성과 도출을 위해, 민간의 현실적 목소리를 공식 논의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국이 인구절벽, 디지털 격차 같은 초국경 어젠다에서 주도권을 확보할지가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구와 AI의 접점에서 국가 경제, 외교 전략 수립의 새 틀이 설계될 수 있다”며 국제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오는 10월 APEC 정상회의 결과물에 민간 제안을 적극 반영해 구체적 협력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APEC과의 연계 강화가 향후 한국 외교의 주요 시험대로 부상할 전망이다.

임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외교부#apec#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