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똑똑한 AI 시대 열렸다”…오픈AI, GPT-5 발표에 글로벌 기술 판도 요동
현지시각 7일, 미국(USA) 샌프란시스코에서 오픈AI(OpenAI)가 차세대 인공지능 언어모델 ‘GPT-5’의 전격 공개를 발표했다. 이번 신모델은 정확성, 속도, 언어 다양성에서 획기적으로 발전해, 전 세계 기술 산업과 인공지능(AI) 생태계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챗GPT(ChatGPT)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 개방되는 등 AI의 대중화에도 또 한 번 혁신이 예고된 조치다.
오픈AI는 GPT-5가 기존 대화형 모델 ‘GPT-4o’와 추론 특화 모델 ‘o3’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임을 밝혔다. 이 같은 설계는 사용자가 일반적 대화와 고난도 추론 작업을 구분 없이 높은 수준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수학, 과학, 코딩 등 주요 벤치마크에서 첨단 성능을 기록했으며, AI 환각 현상(잘못된 정보 생성) 빈도를 크게 줄였다. 응답 속도도 향상돼 이전 추론 모델 대비 빠른 답변 제공이 가능해졌다.

샘 올트먼(Sam Altman) 오픈AI CEO는 “GPT-3가 고등학생, GPT-4가 대학생 수준이라면 GPT-5는 박사급 전문가와 대화하는 느낌이 들 것이다”라며 “한 번 사용해보면 더 이상 예전 모델로 돌아가기 어렵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GPT-5의 진보야말로 범용인공지능(AGI) 목표 달성에 한 발 더 가까워졌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신모델은 코딩, 글쓰기, 창작 등 실전 응용 분야에서 더욱 자연스럽고 정확한 결과물을 제공한다. 동일한 질문에도 매번 다양한 답변을 제시해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점도 강조됐다. 뉴시스는 GPT-5가 신뢰성, 정확성, 안전한 응답, 헬스케어 등 주요 영역별로 두루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안전 응답 기술은 민감한 요청 처리에서 이용자 보호와 역할 명확화를 병행해 한층 균형 잡힌 AI 경험을 제공한다는 평가다.
한국어 기능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오픈AI 측은 “한국어 벤치마크(KMMLU) 내부 테스트 결과, 전문가 수준을 넘어서는 점수로 기존 대비 새로운 SOTA(현존 최고 성능) 기록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GPT-4o에서 도입된 한글 토크나이저 기술을 바탕으로, GPT-5가 더욱 세밀하고 정확한 한국어 처리 능력을 갖추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여론과 언론도 크게 주목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GPT-5의 등장으로 AI가 다시 한 번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 섰다”고 분석했으며, 일본(Japan) NHK 등도 기술 민주화와 AI 신뢰성 확보의 모멘텀을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오픈AI 발표가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경쟁을 한층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GPT-5의 혁신적 성능은 기술 산업은 물론 교육·의료·정부 등 다양한 사회 부문의 업무 자동화 및 혁신 흐름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기술의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밝히며, GPT-5의 이용 접근성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 조치가 국제 AI 산업 및 데이터 거버넌스 지형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