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호기심이 혁신 원동력”…미국 구글·양자 AI 연구진, 노벨상 수상에 세계 주목
현지시각 23일, 미국(USA) 캘리포니아 구글 본사에서 ‘구글 양자 AI’ 연구진이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 사실이 공식 발표됐다. 글로벌 IT 업계와 과학계는 이번 쾌거가 양자컴퓨팅 실용화, 혁신 조직문화, AI 생태계 변화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구글은 최근 양자 칩 ‘윌로우(Willow)’의 검증 성공 등으로 첨단 과학 연구에 대한 투자를 이어왔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구글 양자 AI 수석 과학자이자 예일대 교수인 미셸 드보레, UC샌타바버라 명예교수이자 구글 전임 연구책임자인 존 마티니스에게 돌아갔다. 마티니스는 2014~2020년 ‘양자 우위’ 실현을 목표로 구글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주요 인물이다. 지난해에는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허사비스와 연구원 존 점퍼가 노벨 화학상을 받으며, 구글 조직 전반의 과학·혁신 문화가 재조명되고 있다.

하르트무트 네벤 구글 양자 AI 부사장은 “과학이 세상을 바꾼다는 믿음이 노벨상 수상과 연구 성과의 뿌리가 됐다”고 밝히며, 수익성보다 과학적 호기심이 조직의 최우선 가치임을 강조했다. 이어 “자율주행차 등 초기 대형 투자부터 불확실성을 두려워하지 않는 ‘과학 중심 문화’가 혁신을 견인해 왔다”고 덧붙였다. 네벤은 양자컴퓨팅의 실질적 산업 적용까지 “아직 수년이 걸릴 수 있지만, 최근 성과로 실용화 시계가 빨라졌다”고 평가했다.
네벤 부사장은 구글이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는 ‘양자 우위’ 알고리즘과 함께, 앞으로 오류율 100만분의 1 이하 ‘논리 큐비트’ 개발이 결정적 과제라고 밝혔다. 그는 “양자컴퓨터가 빠르게, 저렴하게 양질의 AI 학습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고, 이는 AI 발전의 새 전기를 열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국(Korea) 과학계에 대해 네벤 부사장은 “도전정신과 제도적 과학·공학 지원이 함께하면 노벨상 수상도 머지않다”며, “불가능을 건강하게 무시하라”는 구글 창업자들의 정신이 오늘의 혁신을 만들었다고 조언했다.
미국(USA) 매체들은 “구글의 조직 문화와 연구 투자 시스템이 글로벌 AI 및 양자 산업을 이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IT업계와 전문가들은 “구글의 양자컴퓨팅 연구와 혁신정신이 노벨상 수상에서 그치지 않고, AI·첨단산업 생태계 전반에 긴 파장을 남길 것”이라고 평했다.
전문가들은 구글의 행보가 향후 글로벌 기술 경쟁, AI 정책, 혁신 인재 성장에 중대한 변곡점을 만들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국제사회와 시장 역시 양자 AI와 AI 기술의 실질적 상용화, 관련 산업의 장기 성장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