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보안도 국경 넘는 협력이 관건”…제임스 김 등, 사이버 위협 글로벌 대응 촉구
정치

“보안도 국경 넘는 협력이 관건”…제임스 김 등, 사이버 위협 글로벌 대응 촉구

김소연 기자
입력

사이버 안보를 둘러싼 민감한 갈등이 국가와 기업으로 번지는 가운데, 국내외 보안 전문가들이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공격이 급증하며 보안 문제는 어느새 한국 사회의 고착 구조가 됐다. 최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경을 넘는 협력과 민관 거버넌스를 주문하며, 해킹 사고 이후 높아진 불안감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는 7월 16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국가 안보 차원에서의 사이버 보안: 글로벌 동향과 산업별 인사이트’를 주제로 ‘제1회 사이버 보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엔 한국과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를 비롯해 기업 리더와 국내외 보안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논의를 이어갔다.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겸 대표이사는 개회사에서 “사이버 보안은 국가 안보와 경제 안정을 지탱하는 핵심 요소로 인식돼야 한다”며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고는 사이버 위협이 얼마나 현실적이고 즉각적인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어 “워싱턴 D.C. 방문 당시 한미 양국 관계자 모두가 한목소리로 기술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견고한 보안 체계는 한국이 아시아 디지털 혁신 허브로 성장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저스틴 창 주한미국대사관 미연방수사국 지부장도 “FBI는 한국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정보 공유, 침해 대응, 악성 행위 차단 등 실질적 조치를 시행 중”이라며 “지속가능한 사이버 방어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함께하는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사이먼 그린 팔로알토 네트웍스 JAPAC 총괄사장 겸 암참 이사회 특별 자문위원은 ‘AI 시대의 비즈니스 보안’이란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AI 기술이 사이버 공격의 정교함과 속도를 집중적으로 높이고 있어 기존 방어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평가해야 한다”며 “이제 ‘보안을 전제로 한 AI’ 설계로 조직의 혁신과 안전을 동시에 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패널 토론에선 권헌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에너지, 금융, 통신 등 국가 핵심 산업을 겨냥한 위협과 대응 전략을 짚었다. 참석자들은 국경을 초월한 정보 공유, 통합적 보안 전략, 최고경영진의 인식 제고, 조직 전체 차원의 혁신‧보안 연계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일제히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오간 담론은 ‘사이버 보안이 곧 국가안보’라는 인식으로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SK텔레콤 해킹 사례 이후 실질적 대책 마련을 요구받고 있으며, 정부와 주요 기관들은 앞으로 민관 협력 강화와 글로벌 공동대응 체제 구축을 본격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임스김#사이버보안#주한미국상공회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