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장애 복구율 75.3%”…청와대 등 서비스 재개 여파

권하영 기자
입력

정부 전산망의 대규모 장애 사태가 점진적으로 해소되고 있다. 27일 행정안전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전산망 709개 시스템 중 534개(75.3%)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낮 12시 기준 복구 시스템은 이전 집계보다 4개 증가했으며, 청와대 국민개방 홈페이지, 국무조정실 출입기자단 홈페이지 등 주요 공공 정보 서비스가 재가동됐다. 장애 직후 공공 서비스 중단이 사회적 혼란을 불러온 만큼, 복구에 속도가 붙으면서 국민 불편도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복구 시스템은 등급별로 차이를 보였다. 국가 주요기능과 직접 연계된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4개(85.0%)가 정상화됐으며, 2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79.4%(68개 중 54개), 3등급은 76.2%(261개 중 199개)였다. 공공서비스, 행정 지원 등 범용성이 높은 4등급은 전체 340개 중 247개(72.6%)가 복구됐다. 특히 이번에 복구된 시스템 대다수가 4등급으로, 국민 생활과 직접 연결된 서비스의 정상화가 지연된 점이 확인된다.

전산망 복구의 핵심은 대형 데이터센터에서 개별 기관별 연계 서버, 부가 시스템까지 계층적으로 장애 원인을 파악하고, 백업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절차에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은 대형 서버실, 보안 장치, 네트워크 라우터 등 첨단 인프라가 집적된 국가 핵심 IT센터로, 장애 발생 시 전산망 복원에는 고도화된 매뉴얼이 필요하다. 빠른 복구를 위해 자동화된 데이터 이중화(리던던시)와 지속적 로그 검증 시스템이 가동되는 한편, 각 부처와 긴밀한 업무 재개 준비가 병행됐다. 

 

실제 현장에서는 청와대 국민개방 홈페이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등 핵심 서비스가 추가 복구되면서, 정부의 대국민 정보제공과 행정처리 정상화가 가능해졌다. 특히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 클라우드 이전, 중요 백업 분산화 등 IT 인프라 이원화·고도화 요구가 업계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최근 글로벌 IT센터 역시 자연재해, 화재, 사이버테러 등 복합 리스크에 대응해 멀티 데이터센터 운용, 실시간 복구 솔루션 확보를 강화하는 추세다.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공공 전산망의 분산형 복원 체계에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다만 국내 공공 IT시스템은 각 부처별로 관리 주체와 등급 기준이 나뉘어 있어, 전체 복구율의 체계적 집계와 근본적 재해 복원력(RTO/백업 체계) 개선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전문가들은 “공공 전산망 장애 복구는 신속성뿐 아니라, 서비스 등급별 중요성에 맞춘 체계적 우선 복구 전략이 산업·공공의 디지털 안전망을 가른다”고 평가한다. 업계는 향후 이중화 설비와 IT재해 대응 표준화 등 후속 대책 마련 상황에 주시하고 있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전산망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