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인상안 거부”…미국 보잉 방산 부문, 파업 위기 고조
현지시각 27일, 미국(USA) 미주리주와 일리노이주에서 항공기 제조사 보잉(Boeing) 방산 부문 노조가 사측의 임금 20% 인상안 등을 포함한 새 근로계약안을 거부, 대규모 파업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결정은 미국 노동계는 물론 방위산업까지 직격타를 예고하며 증시와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노조를 대표하는 국제기계항공노동자연맹(IAM) 837지부는 이날 조합원 3,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에서 사측 안내보다 더 나은 노동조건을 요구한다며, 임금 및 복지안이 압도적으로 부결됐다고 밝혔다. 노조는 “숙련 노동자의 희생과 요구에 상응하지 않으며, 안정적 미래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임박한 계약 종료와 함께 7일간의 냉각기간을 거쳐 파업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보잉은 제시안에 5,000달러 보너스, 첫해 8% 인상, 근무 일정 개선 등을 포함했다고 설명했으나, 노조의 요구사항을 온전히 충족하진 못했다. 방산 부문 에어 도미넌스 사업부의 댄 길리안 부사장은 “최선을 다했으나 거부 의사를 확인하게 돼 유감”이라며, 이미 비상 계획 운영 및 파업 대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에도 보잉은 시애틀 생산공장 노조 파업으로 7주간 생산차질을 겪은 바 있다. 방산 부문까지 생산 중단에 들어가면 F-15, F/A-18, T-7A 훈련기, MQ-25 드론 등 주요 군용기 라인업 출하가 중단될 수 있다. 방산 부문은 2022년 이후 계속된 영업적자로 이미 어려움이 가중된 상태다.
분석가 스콧 미쿠스 멜리우스 리서치는 “방산 노조의 파업은 1996년 이후 전례가 없고, 상용기 부문 대비 행동주의 펀드 개입도 적다”고 짚었다. 그러나 이번 교섭 난항이 해소되지 않으면 증시에 부정적 신호는 물론, 전 세계 방위산업 공급망에도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커지고 있다.
미국 주요 언론들은 “보잉 방산 부문 실적 악화가 노사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CNBC는 “군용기·훈련기 공급망에 비용 충격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번 사안이 자칫 미국(USA) 방위산업의 안정성 흔들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확산 중이다.
향후 사측과 노조 간 추가 협상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으면, 보잉 방산 부문의 생산 차질 및 영업적자 심화는 글로벌 방산 시장 전반에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사회는 이번 파업 위기의 전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