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케이캡 제균율 85% 돌파”…HK이노엔, PPI 대비 효과 입증

정재원 기자
입력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케이캡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과가 대규모 임상을 통해 입증되며 국내 제약 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15일 HK이노엔은 케이캡이 기존 치료제 대비 높은 제균율을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 내성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고 밝혔다.  

 

HK이노엔은 독일 베를린에서 4일부터 7일까지 열린 ‘2025 유럽소화기학회’에서 헬리코박터 양성 국내 환자 3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억제제(P-CAB) 케이캡 투여군(50㎎·100㎎)의 제균율은 각각 85.95%, 85.48%로, 표준 3제 요법에 사용되는 란소프라졸(30㎎) 투여군의 78.74%를 웃돌았다. 모든 케이캡 용량군이 80% 이상의 제균율을 기록하며 1차 치료제로서의 비열등성과 시장성을 확인한 것이다.  

출처=HK이노엔
출처=HK이노엔

의료업계에서는 신약 케이캡이 기존 PPI(양성자 펌프 억제제) 계열 약물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HK이노엔 관계자는 “케이캡의 임상 결과는 치료 효과뿐 아니라 안전성에서도 우위를 보여, 국내외 신규 제균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약업계는 케이캡이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한다.  

 

전문의들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는 재발방지와 위암 사전 예방에 핵심적”이라면서, “P-CAB 방식 신약의 치료 옵션 확장으로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유럽 시장 뿐 아니라 북미와 아시아권 진출에 따른 매출 성장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정부와 학계는 신약 개발 성과에 힘입어 국내 의약품 수출 경쟁력 확보 및 R&D 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글로벌 주요 학회에서 한국 신약의 성과가 잇따라 발표되면서, 국내 제약 산업의 위상도 한 단계 높아질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케이캡은 2019년 국내 출시 이후 5년 만에 글로벌 학회를 통해 성과를 인정받으며, 기존 대비 효과와 안전성을 모두 입증했다. 향후 정책 지원·임상 확장에 따라 국내 제약산업 성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내년 이어질 글로벌 임상 확대와 후속 신약 개발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HK이노엔은 “‘치료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산업적 성과를 실제 사업화와 수출로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hk이노엔#케이캡#헬리코박터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