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반도체 첨단투자 가속”…소프트뱅크, 인텔 지분 2.8조 원 취득 파장
현지시각 19일, 일본(Japan) 소프트뱅크그룹이 미국(USA) 반도체 대기업 인텔(Intel) 지분 약 2%를 20억 달러(약 2조8천억 원)에 취득하기로 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대규모 투자는 미국 내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인공지능(AI) 혁신 가속을 겨냥한 것으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첨단 기술 산업 전반에 중대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소프트뱅크그룹은 이날 인텔과 분쟁 없는 협의를 거쳐, 1주당 23달러에 인텔 보통주를 매입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소프트뱅크는 전체 인텔 주식의 약 2%를 확보하게 됐다. 인텔의 18일 시가총액은 약 1천억 달러로, 일본 경제지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출자 규모는 역사적으로도 의미 있는 수준에 해당한다.

이번 전략적 투자의 배경에는 소프트뱅크가 미국 내 첨단반도체 및 클라우드 컴퓨팅, AI 인프라 성장에 전력을 쏟고 있다는 점이 자리잡고 있다. 손정의(손 마사요시) 회장은 “반도체는 모든 산업의 핵심”이라며, “인텔은 50여 년간 혁신을 이끌어온 신뢰받는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계약을 통해 AI 혁명 실현과 첨단 기술기반 확충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텔 CEO 립부 탄도 “소프트뱅크와의 협력은 첨단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의 계기”라고 화답했다.
미국은 현재 트럼프(Donald Trump) 전 행정부 주도로 반도체 산업 내 기술주권과 생산 역량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닛케이신문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정부도 인텔 지분 10% 취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다국적 투자와 정부 지원은 미-중 기술패권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과 맞물려 미국 내 반도체 공급 안정성 확보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시장과 업계는 이번 소프트뱅크의 투자 결정이 미국 반도체 산업은 물론, 글로벌 AI·IT 생태계 성장에 긍정적인 자극을 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투자자들 역시 미국 정부의 후속 투자 방안, 인텔 주가 변동성, 그리고 첨단기술 기업 간 협력 확산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소프트뱅크의 이번 결단이 미국 반도체 주권과 민간 혁신의 새로운 조합을 시사한다”고 평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가 미중 기술전쟁, 글로벌 공급망 변화 속 미국 중심의 반도체 및 AI 산업 구조를 견고히 할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소프트뱅크와 미국 정부의 추가 움직임, 인텔의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가 국제 반도체 시장에 미칠 장기적 영향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관계와 글로벌 기술 경쟁 판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