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개도국 차관 24% 한 기업에 집중”…한국 EDCF 지원, 투명성 논란 확산

윤지안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21일, 한국(ROK)에서 내년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개발도상국 차관 예산의 24%가 현대로템 단일 기업에 집중 배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1조6천억 원에 달하는 전체 차관 중 3,897억 원이 네 개 철도차량 공급사업에 편성됐다는 내용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 발표를 통해 공개됐다. 이번 조치가 해외 사업 지원을 통한 개발 협력이라는 본래 목적과 달리, 정책 투명성 및 공정성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차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아시아‧아프리카‧중동‧중남미 등 4개 지역 163개 개도국사업 중 현대로템 관련 사업은 이집트 카이로 메트로 2·3호선 전동차, 모로코 교외선 철도차량,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차량 등 세 건이 현 정부 출범 후 승인돼 진행됐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차량 공급의 경우에는 국제경쟁입찰 대신 현대로템이 처음부터 단독선정됐다는 점에 대해 ‘사실상 수출금융지원’이라는 비판이 의원실 측에서 제기됐다.

또한 2023년 9월, 추경호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우즈베키스탄 경제부총리와의 면담에서 “한국 기업이 수주 시 EDCF 지원 가능” 입장을 공식 지원방침 발표 전 전달한 정황이 국토부 자료에서 확인되면서 사전 협의 및 특정 기업 지원 의혹도 새롭게 부각됐다.

 

관련해 차규근 의원은 EDCF의 대기업 집중 지원구조가 개발도상국의 지속 가능 발전과 공적개발원조(ODA) 취지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이미 현대로템과 특정 인물 간 로비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해외정책 집행과정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없는지 철저한 조사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제금융 및 증시전문가들은 한 기업에 차관이 지나치게 몰릴 경우, 한국의 정책 신뢰도 저하와 국제적 비판을 초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EDCF 집행의 투명성 개선과 감독체계 강화 요구도 함께 제기되는 분위기다. CNBC 등 주요 해외 매체는 “한국 정부의 ODA 집행구조가 글로벌 기준과 얼마나 부합하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현대로템 등 특정 기업 중심의 차관 지원이 불러올 수 있는 국제적 파장에 대한 관리가 앞으로 외교 및 경제 정책 기조에 적지 않은 시험대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제 사회 내 신뢰강화를 위해 더욱 공개적이고 공정한 개발협력 집행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평가한다.  

 

차규근 의원은 관련 기관이 실태조사와 제도개선 책무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번 사안이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정책 투명성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로템#edcf#차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