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부모님 보청기·틀니 점검”…추석, 정밀의료 기술 수요 급증
IT/바이오

“부모님 보청기·틀니 점검”…추석, 정밀의료 기술 수요 급증

박선호 기자
입력

보청기와 임플란트 등 디지털 기반의 시니어 의료기기 관리에 대한 관심이 추석을 앞두고 높아지고 있다. 최근 보청기와 틀니 등 고령자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의료 보조기기 시장은 IT·정밀의료 접목을 통해 맞춤화와 서비스 생애주기 관리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다. 의료계는 추석 전후, 부모님 효도선물로 새로운 제품 구매 못지않게 기존 보청기, 틀니 등 주요 기기의 성능 진단과 정밀 점검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청력 저하에 따라 착용이 권장되는 보청기는, 최근까지도 인공와우 이식술이나 디지털 소리 조절 기술 등 최신 정밀진단과 AI 소신호 증폭 기능이 적용되는 등 기술 진화가 빠른 분야다. 전문가들은 특히 완전무선(오픈형) 보청기, 실시간 소리 환경 적응 기능 등 정밀 소신호 처리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이 출시되며 맞춤형 청각관리 서비스가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보청기 기능 저하나 청력 변화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통한 청력검사·기기 점검을 권장하며, 인공와우 등 고도 난청 환자 대상 첨단 기술의 적용 가능성도 강조된다.

임플란트와 틀니 등 치과 보철 기기도 맞춤형 진단 기술, 3D 프린팅 의치 제작 등 IT 융합 트렌드가 확산 중이다. 부분 틀니, 전체 틀니, 임플란트 틀니 등 치료법은 남은 치아의 개수와 치조골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최근에는 임플란트 식립과 디지털 보철 가공 공정 자동화가 고령층 저작 기능 회복에 기여하며 시장 규모를 넓히고 있다. 다만, 치료 과정의 부담 및 사후 관리 필요성이 지적되며, 틀니나 임플란트 미착용 시 구강 건강 악화와 다양한 질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평가와 지속적 관찰이 요구된다.

 

특히 국내외에서는 시니어 의료기기의 실사용 데이터 분석, 환자 맞춤 복지 시스템,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기간 연동 등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는 원격 진단, 의료기기 데이터 표준화, AI 기반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사후관리 서비스가 상용화 단계에 진입 중이다.

 

의료 현장과 업계 전문가들은 “보청기·임플란트 등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데이터 기반 정밀 점검 및 디지털 맞춤 관리 서비스가 향후 시니어 헬스케어 시장 주도 기술로 부상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결국 기기 성능 못지않게 사후 데이터 관리와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의 품질이 시장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청기#임플란트#정밀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