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데이터센터 투자 36조 원 예고”…PDG, 인천 1조 원 투입에 IT 업계 주목
현지시각 17일, 싱가포르(Singapore)에 본사를 둔 데이터센터 운영기업 프린스턴디지털그룹(PDG)이 공식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하며, 인천에 1조2백억 원(약 7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와 같은 대규모 자본 유입은 국내 IT 인프라 판도를 크게 흔들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글로벌 AI·클라우드 시장 확장과 더불어 동아시아 내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에서 추진됐다.
PDG는 현지 시간 17일, 인천 지역에 48MW급 대형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이달 착공에 들어가 2028년 초 가동을 목표로 삼는다고 밝혔다. 란구 살가메 CEO는 “한국 내 장기 인프라 확장이 계획돼 있어, 추가 투자로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용량을 500MW, 투자 금액은 약 60억 달러(8조7천억 원)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PDG는 이미 싱가포르, 일본(Japan), 인도(India) 등지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아시아 지역 전체에 250억 달러(약 36조4천억 원)를 투입, 총 4GW까지 데이터센터 용량을 늘릴 방침이다. 살가메 CEO는 “미국(USA)에서는 이미 AI 데이터센터 확장이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시아 전역은 앞으로 5년간 급격한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인천 프로젝트에는 캐나다(Canada) 온타리오교원연금플랜,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 등 글로벌 기관 투자자들도 대규모 자금을 집행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글로벌 자본의 데이터센터 인프라 진출이 국내 설비산업, IT 관련 기술주, 증시까지 파급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하고 있다.
이에 국내외 주요 매체들도 PDG의 인천 투자를 “본격적 아시아 데이터센터 경쟁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AI·클라우드를 겨냥한 글로벌 자본 움직임이 동아시아 인프라 판도를 다시 짤 것”으로 전망했다.
2028년 인천 데이터센터 준공 이후에는 글로벌 빅테크의 IT 인프라 확보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에서 데이터센터 투자가 연쇄적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며, “PDG의 대규모 투자 경쟁이 아시아 디지털 생태계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