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소버린 AI 필수”…코난테크놀로지, 국산 국방 AI 생태계 완성 청사진 제시
정치

“소버린 AI 필수”…코난테크놀로지, 국산 국방 AI 생태계 완성 청사진 제시

권혁준 기자
입력

한국 국방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을 둘러싼 논의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민간 AI 기업 코난테크놀로지가 15일 서울 용산구 로얄파크컨벤션에서 ‘국방 AI 테크 서밋’을 개최하며, 국민안보와 자주 국방 강화 차원에서 ‘소버린 AI’의 필요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행사장에는 군, 방산업체, 국내외 IT업계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국산 AI 플랫폼이 지닌 전략적 의미를 집중 조명했다.

 

이날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대표는 “최근 대내외적으로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병력 자원이 감소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국방 AI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7년 미국 공군 기술 시연 과정에서 경험한 기술주권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국방이야말로 진정한 소버린 AI가 필요한 곳”이라고 덧붙였다.

김규훈 코난테크놀로지 국방AI사업부 이사는 급증하는 전장 정보, 허위 정보까지 검증하는 AI 기술의 역할을 강조했다. “영상 인식 AI는 전장의 눈이 되고, AI 플랫폼은 참모가 될 수 있다”며 “전투기 기동상황 확인체계(ACMI) 등 기존 외산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해 ‘국방 AI 생태계’ 완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코난테크놀로지는 AI 플랫폼, AI 에이전트, 피지컬 AI 등 3대 국방 AI 추진전략을 공개했다. AI 플랫폼을 통한 표준화, AI 에이전트의 작전 결심 지원, 드론과 로봇 등 피지컬 AI를 기반으로 한 전장 자율화가 주요 내용이다. 실제 적용 사례로는 160cm 감시정찰용 이동형 드론 등 최전방 국방 현장에서 도입 중인 AI 기술이 현장에 전시됐다.

 

정치권과 방위산업계에서도 AI 기반 자주국방의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다만, 도입 과정에서의 기술 주권, 외산 의존도, 첨단 AI의 신뢰성과 통제 문제 등은 향후 숙제로 남을 전망이다.

 

정부는 국방 AI 플랫폼 표준화와 국산화 생태계 지원을 통한 방산 경쟁력 제고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로 국내 국방 AI 시장의 방향을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코난테크놀로지#국방ai#소버린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