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키트루다 SC 상업화 모멘텀”…알테오젠, 코스피 이전 기대·특허 리스크에 주가 변동성 확대

박선호 기자
입력

알테오젠이 키트루다 피하주사(SC) 상업화와 플랫폼 가치 재평가, 코스피 이전 상장 기대를 업고 최근 6개월 새 약 70% 급등하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11월 들어 특허 분쟁 이슈와 상환전환우선주 발행 검토설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 변동성이 확대된 바이오 업종 내에서 알테오젠의 성장성과 함께 이벤트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18일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0분 기준 알테오젠의 주가는 540,000원으로, 전일 대비 1.46% 하락했다. 최근 한 달 사이 44만 원대에서 54만 원대로 약 20% 넘는 오름세를 보인 데 이어, 52주 최고가(569,000원) 부근에서 매물 소화와 단기 레벨 조정이 진행되는 모습이다. 6개월 전 32만 원대 저점과 비교하면 대략 70%에 달하는 상승 폭을 기록했다.

알테오젠[196170] 최근 3개월 주가변동 추이 / 네이버증권
알테오젠[196170] 최근 3개월 주가변동 추이 / 네이버증권

주가 흐름의 중심에는 키트루다 SC 미국 상업화 허가, ALT-B4 플랫폼의 글로벌 수요 급증, 코스피 이전 상장 절차와 관련한 기대감이 자리잡고 있다. MSD(머크)가 개발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SC 제형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며 알테오젠은 약 2,500만 달러(한화 약 350억 원) 규모의 마일스톤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되고, 관련 뉴스가 실질적인 현금 유입과 로열티 기대를 현실화시키는 계기가 됐다.

 

다만 긍정적 이벤트만큼이나 특허 분쟁 가능성, 상환전환우선주 발행 관련 루머 등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최근 11월 중순 경쟁사 소송 이슈와 대규모 자금 조달설이 연이어 확산되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유입되며 단기 10% 이상 하락 구간이 형성되기도 했다. 회사 측의 해명 이후 일부 반등이 나타났으나, 밸류에이션 부담과 이벤트 리스크가 여전한 양상이다. 수급 측면에서는 외국인 순매도가 확대된 반면 기관은 조정 구간에서 저가 매수세를 보이며, 수급 균형에 따른 단기 변동성이 두드러지고 있다.

 

알테오젠의 2024년 예상 매출액은 1,029억 원, 영업이익은 254억 원으로 제시되며 2025년에는 매출 2,049억 원, 영업이익 1,108억 원의 급성장이 기대된다. ROE는 2024년 29%, 2025년 20% 후반대로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는 구조지만, PER(주가수익비율)이 200배 이상에 달하는 점은 현재 실적보다는 플랫폼 가치와 장기 로열티 성장이 선반영된 상태임을 보여준다. 재무안정성은 부채비율 70% 내외, 당좌비율 160% 이상, 유보율 900~1,200% 수준으로 양호하다.

 

경쟁사와 비교하면 알테오젠은 28조 원대의 압도적인 시가총액, 15.2%의 외국인 지분율, 동종 업체대비 높은 ROE 등 강점을 보인다. 반면 플랫폼 중심 구조와 고평가 구간, 특허 및 자금 조달 관련 이슈는 단기 변동성을 키우는 요소다. 전문가들은 키트루다 SC를 비롯한 신약 상업화 진척, 코스피 이전 상장 결과, 향후 신규 라이선스 아웃 성사 여부를 주요 모멘텀으로 꼽으면서, 특허 소송·이벤트 리스크에 따른 급격한 변동에도 유의하라고 조언했다.

 

증권가는 단기적으로 50만 원 초반대 지지선과 52주 신고가(56만9천 원) 돌파 여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보수적으로는 특허·자금조달 이벤트 여파로 조정이 심화될 수 있고, 반대로 추가 마일스톤 등 신규 재료가 이어지면 고점 재도전 가능성도 열려 있다. 목표주가는 633,333원(투자의견 ‘매수’)이 제시됐으나, 레버리지 투자보다는 단계적·분할 접근, 이벤트 일정 및 수급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체크가 권고된다.

 

시장에서는 바이오 업종 전반의 투자심리 변화, 코스피 이전 상장 절차, 글로벌 라이선스 출시에 따른 실적 인식 시기, 특허 소송의 향방 등이 중단기 주가 흐름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자자들은 분기별 실적 변동성, 이벤트 리스크, 플랫폼 중심 고평가 국면을 함께 감안해 신중한 투자전략을 세워야 할 시점이다. 시장에서는 알테오젠의 코스피 이전 상장 일정과 추가 마일스톤 입금, 대형 글로벌 제약사와의 신규 파트너십 발표 등에 지속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알테오젠#키트루다sc#플랫폼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