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중국군 유해 30구 송환”…국방부, 한중 관계 ‘우호협력 강화’ 기대
6·25전쟁 당시 전사한 중국군 유해 30구 송환을 두고 국방부와 중국 퇴역군인사무부가 맞붙었다. 올해 제12차 송환을 계기로 한중 간 우호협력 문제와 체제 선전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양국 정부는 별도 인도식 행사를 생략하는 방식에 대해 상반된 시각을 드러내는 한편, 송환 절차의 의미와 영향을 다시금 점검하는 분위기다.
국방부는 9월 12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중국 퇴역군인사무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12차 중국군 유해 송환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국방부는 중국군 유해 30구와 유품 267점 등을 중국 측에 전달했다. 이들 유해는 6·25전쟁 전사 국군 유해 발굴 과정에서 함께 찾은 중국군 희생자들이다. 2014년 첫 송환 이래 올해까지 누적 송환 규모는 1천11구에 이른다.

송환과정에서 국방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별도의 인도식 행사를 열지 않았다. 2014년부터 지속해 온 공식행사가 11차 송환부터 사라진 점과 관련, 정부 안팎에선 중국 측이 ‘영웅의 귀환’ 프레임을 체제 선전용으로 활용하는 점, 그리고 남북 및 국제 사회의 복합 감정 등을 두루 고려한 조치란 해석이 나온다. 다만 올해 송환은 지난해와 달리 국방부가 공식 보도자료를 배포해 언론에도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인도식 행사 생략을 놓고 의견이 갈렸다. 일각에서는 한중 교류의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반면, 일부 보수 진영 인사들은 “전쟁의 상처를 잊어선 안 된다”며 비판을 제기했다. 전문가들은 다면적인 한중관계, 유해 송환의 인도주의적 가치, 그리고 국제적 신뢰 회복의 균형이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국방부는 “이번 중국군 유해 송환이 한중 간 우호협력 관계 강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관련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유해 송환을 둘러싼 공방과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며, 향후 정부는 송환 방식과 외교적 메시지 설정에 대한 검토를 계속해나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