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전통복 입고 박물관 동행”…김혜경·응오프엉리, ‘뮷즈’로 한·베 우호 다졌다
정치

“전통복 입고 박물관 동행”…김혜경·응오프엉리, ‘뮷즈’로 한·베 우호 다졌다

이예림 기자
입력

정치적 우호와 문화적 교류를 놓고 김혜경 대통령 부인과 응오 프엉 리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배우인이 만났다. 11일 두 영부인은 전통 의상을 갖춰 입고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을 함께 찾으며 한·베트남 친선을 재확인했다. 두 나라 대표 여성 지도자들이 공식 수행 일정 속 '배우자 외교'를 펼치는 장면에 정치권과 외교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이날 오전 10시 50분께 시작된 박물관 나들이에서 김혜경 여사는 한복을, 리 여사는 아오자이를 각각 차려입었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이 '까치 호랑이 배지'를 달고 두 사람을 맞았다. 김 여사는 유 관장과 함께 반가사유상, 외규장각 의궤, 백자 달항아리, 감산사 불상, 경천사지 십층석탑 등 대표 유물을 직접 소개했다.

현장에서는 문화적 공감대가 자연스럽게 형성됐다. 리 여사는 반가사유상을 바라보며 “고뇌하는 표정이 아니라 은은한 미소를 띠고 있어 인상적”이라고 했고, 김 여사는 “반가사유상 미니어처가 가장 인기 있는 ‘뮷즈’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뮷즈는 ‘뮤지엄’과 ‘굿즈’의 합성어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상품을 뜻한다. 실제로 리 여사는 관람 후 뮷즈샵을 찾아 반가사유상 미니어처에 관심을 보였고, “굿즈를 신청하겠다. 그 핑계로 다시 오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진 환담에서 두 영부인은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 교류 확대에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리 여사는 “K-컬처의 정체성과 가치를 몸소 느낄 수 있었다”며, “많은 관람객이 있다는 것도 배울 점”이라고 평가했다. 김 여사는 “모시게 돼 영광”이라며 우호의 뜻을 전했다. 리 여사는 미술 전공자이자 국영방송사 문화예술국장 경력, 한국인 매제를 둔 인연까지 공개해 각별한 애정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박물관 방문에 앞서 두 영부인은 대통령실에서 별도로 환담했다. 이 자리에서 리 여사는 “전날 한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여성들을 만났다”고 밝혔고, 김 여사는 “베트남 여성들과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한국 사회의 일부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해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영부인의 소프트 외교 행보는 한·베트남 우호와 다문화 사회 통합의 상징이 됐다는 평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친교 행보가 양국 간 외교적 신뢰 강화, 문화산업 교류 확대 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향후 한·베트남 관계 증진 및 다문화 가정 지원 방안 마련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혜경#응오프엉리#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