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국 핵잠수함 도입 전폭 지원”…피트 헤그세스, 한미안보협의회서 강한 의지 표명

정유나 기자
입력

한미 간 전략자산 강화 논의가 한층 뜨거워진 가운데,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 의지를 전면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국 안보수장이 한자리에 모인 자리에서 미국 측이 구체적 지원 방침까지 언급하며 한미동맹 내 전략적 공조가 새로운 기로에 들어섰다.

 

4일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헤그세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드린다"며 "군 당국에선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 계획에 대한 미국 국방부의 확고한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그는 이어 "핵추진 잠수함 관련해서 다른 유관기관들이 있다"며 "국무부, 에너지부가 있는데 계속해서 긴밀 협조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간 핵추진 잠수함 기술 교류와 도입 절차에, 미국 행정부 내 여러 관련 기관이 지속적으로 긴밀히 연계하며 실무적 점검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헤그세스 장관은 "알다시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동맹의 능력이 제고되길 원한다"며 "그런 차원에서 대한민국은 모델과 같은 국가다. 그러다보니 대한민국이 더 강력한 능력, 최고의 능력을 갖는 것에 대해 마음을 열고 승인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동맹국 한국의 전략자산 역량 강화를 신뢰한다는 점을 부각했다.

 

다만, 승인 절차의 세부 내용은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승인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 자세한 말씀드리는 게 적절하다고 보지 않지만, 앞으로 양국이 선의를 갖고 계속 토론해 긍정적 결과로 이끌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핵추진 잠수함 도입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최근 동북아 안보 정세 변화 속에서, 한미 양국 간 실질적 협력이 구체 자산 도입 논의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전략자산 도입과 관련해, 국내 정치권 일각에선 군사적 자주권 확대와 군비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정치권은 한미 간 전략자산 협의 진전에 큰 관심을 보이며, 향후 안보 정책 수립과 국방 예산 배분 과정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미 양국이 핵추진 잠수함 도입 문제를 두고 실질 협력을 강화하며, 동북아 안보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지 주목된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피트헤그세스#트럼프대통령#한미안보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