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이진숙 임명 부담”…여권, 청문회 후 국민여론 반영해 최종 결정 시사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과 여권이 정치적 갈등 국면에 맞서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진보 야당 일부와 친여 성향 단체들까지 두 후보자 임명에 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밝히는 가운데, 정권 초반 국정 동력 저하와 정국 주도권 이양 우려도 당 안팎에서 제기됐다. 여론 추이와 인사청문회 결과가 향후 방향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두 후보자 엄호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청문회 소명과 국민 여론을 좀 더 지켜보자는 신중 모드에 들어간 분위기다. 이날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인사 문제는 대통령실도 국민 눈높이에서 예의주시하고 있기에, 청문회가 끝나면 종합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며 “진실한 사과와 소명 등을 보고 국민께서 판단해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백 원내대변인은 “강 후보자는 청문회 때 부족한 점을 여러 차례 사과했고, 이진숙 후보자의 경우 과도하게 부풀려 보도된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당 원내지도부 인사도 “국민 여론은 아직 조금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부정적 기류 역시 당 일부에서 감지된다. 강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청문회 위증 의혹, 이 후보자의 자녀 조기 유학·제자 논문 표절 의혹 등이 계속 제기되면서 책임 정치 실현을 위한 결단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다. 진보당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강 후보는 사실상 갑질 문제를 인정했고 ‘거짓 해명’ 논란으로 국민 신뢰를 잃었다”며 사퇴를 촉구했고, 사회민주당 청년위원회와 다수 여성단체들도 새로운 적임자 지명 필요성을 주장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역시 이 후보자 논란에 자진사퇴 요구를 공식화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만약 두 후보자의 낙마가 현실화될 경우 정권 초반 국정운영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인사청문 논란이 마무리될 경우 각종 이슈가 자연스럽게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병존한다. 대통령실 역시 상황을 주의 깊게 관망하며 청문회 이후 국민 여론과 후보자 소명을 종합해 최종 임명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실은 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판단 시점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지속적으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는 인사청문회 및 여론 동향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향후 두 후보자의 임명 여부와 이에 따른 국정운영 동력 차질, 정국 향배에 정치권과 시민사회 모두 주목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은 청문회 종료 후 여론과 소명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결론을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