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데이터센터 전자파 인체기준 1% 수준”…과기정통부, 안전 신뢰도 높인다
IT/바이오

“데이터센터 전자파 인체기준 1% 수준”…과기정통부, 안전 신뢰도 높인다

신유리 기자
입력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산업과 일상 전반에서 제기돼온 가운데, 정부가 직접 측정한 결과 모든 수치가 국내 인체보호기준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의 핵심으로 꼽히는 데이터센터는 180곳이 이미 운영 중이며, 앞으로도 추가 신설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와 시민 모두가 이번 발표를 두고 ‘전자파 위험 관리를 둘러싼 신뢰 회복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전국 데이터센터 6곳과 병원, 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 4곳에서 고압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세기를 측정한 결과, 모든 현장에서 국제 기준의 1% 수준에 그쳤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를 근거로 국제비전리방사선방호위원회(ICNIRP) 기준을 준용하며, 고압전선(60Hz) 기준으로 833mG가 한계치다. 측정값들은 이 기준의 1%를 넘지 않았다.

전자파는 고압전선 등 대형 인프라에서 주로 발생한다. 데이터센터와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첨단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서비스가 집중되는 만큼 국민 생활과도 직결된다. 과기정통부는 측정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과 협업, 시민참여단의 현장 참관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을 높였다.

 

특히 이번 발표는 국민 체감형 정책에도 방점을 찍는다. 과기정통부는 서울·경기권 데이터센터에 실시간 전자파 강도를 시각화하는 ‘전자파 신호등’을 구축해 청색·황색·적색으로 위험 단계를 보여준다. 향후 현장 확대와 주요 생활시설 설치도 예고돼, 지역사회 전자파 갈등 해소에도 역할이 기대된다.

 

글로벌 주요국 역시 ICNIRP 등 국제 기준을 바탕으로 실시간 측정, 데이터 공개를 확충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선 시민 접근성이 높은 데이터 공개 시스템이 사회적 신뢰 구축에 적극 활용된다.

 

국내에서는 추가로 국민이 직접 전자파 수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생활 전자파 측정기 대여, 주요 시설 측정 서비스, 전국 전자파 정보지도 운영, 홍보 콘텐츠 제공 등 다각적 제도 보완도 병행한다. 정부 당국은 국민 불안 해소와 인프라 혁신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조화로운 규제관리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 지속 추진을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자파 실측 공개 및 시민 체험 확대가 산업과 생활 인프라 사이 신뢰의 고리를 만들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조치가 실제 시장 신뢰 회복과 갈등 해소로 이어질지에 주목하고 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데이터센터#전자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