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 모두 한 표, 평당원 지도부”...정청래, 민주당 ‘당원 주권’ 강화 돌입
당원 주권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 더불어민주당의 새 대표로 선출된 정청래 대표가 '당원 주권'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며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2025년 8월 2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된 전당대회에서 정 대표가 ‘모든 당원 1인 1표’를 포함한 대대적인 권리당원 권한 확대를 천명하면서, 당내 구조와 정국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정청래 대표는 경선 기간 내내 “당의 진짜 주인은 당원”이라고 강조해왔다. 그는 당 대표 수락 연설에서도 “이재명 정부가 막을 연 국민주권 시대에 걸맞게 당원 주권 정당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특히 지명직 최고위원 2명 중 1명을 ‘선출직 지방의원 등을 제외한 평범한 권리당원’에서 뽑겠다는 구상이 이목을 끌었다. 정 대표는 “지명직 최고위원에 지원한 평당원 가운데 민주적 선발 과정을 거쳐 임명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한 전당대회 직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집단 지도체제, 대의원 제도를 통해 당의 문턱이 낮아지는 듯 보였지만, 실상 당원의 실질적 의사결정 참여는 제한됐다”면서 “정보의 실시간 쌍방향 소통 시대, 집단 지성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고 역설했다. 정 대표는 ‘모든 당원 1인 1표’를 취임 즉시 시행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선거에서 대의원 표 가치가 권리당원보다 높은 현행 제도를 고쳐 모든 당원이 한 표를 행사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경쟁했던 박찬대 후보는 당원 표 가치를 높이자는 방향엔 동의하면서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밝혀 양측 입장 차이도 뚜렷했다. 당 일각에서는 권리당원 참여가 확대될 경우, 당이 ‘강경파 당심’에 휘둘리며 일반 민심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왔다. 다만 당원의 실질적 권리 강화가 대의민주주의를 더욱 촘촘하게 만들 수 있다는 기대 반응도 존재한다.
정청래 대표는 주요 당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전(全) 당원 투표제’ 상설화, 의원총회 및 전 당원 투표의 조화로운 운영도 약속했다. 이 외에도 ▲평당원 중심 당원 주권국 신설 ▲당원 교육 강화 ▲당원 포상제 확대 ▲연말 전 당원 콘서트 실시 ▲당원 SNS 역량 지방선거 공천 반영 ▲매년 당원 박람회 개최 등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2024년 이재명 대통령이 대표 시절 국회의장단과 원내대표 선거에 권리당원 의견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규정을 개정한 바 있다. 개정 전에는 의원만 100% 참여했으나, 개정 이후 권리당원(20%)과 의원(80%) 합산 방식이 적용됐다. 정 대표는 앞으로 이 비중을 더 높이겠다며 “국회의장단, 원내대표 경선에 당원 참여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선 당원 주권 강화가 장기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의 당내 민주주의와 리더십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지 주목하고 있다. 당은 향후 주요 당무에 대한 전 당원 의견 수렴이 표준이 될 가능성도 커졌다. 국회와 정치권은 정청래 민주당 대표 체제의 당심 강화 전략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