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유심 전면 교체 검토”…KT, 보상안 강화로 보안 논란 진화 속도

조보라 기자
입력

KT가 고객 정보 유출 및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태에 대한 신속 대응책을 잇달아 내놓으며 이동통신 보안 이슈의 새로운 분기점이 되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및 유심(USIM) 교체 지원과 함께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 전면 교체 프로그램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이동통신 보안 관리 경쟁의 가속화”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최근 KT 고객 중 일부가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입고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난 상황에서 마련됐다. KT는 피해 고객에 한해 위약금 면제 및 단말 교체 지원, 안심 보험 제공 등의 보상 프로그램을 2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특히 전체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보상과 유심 교체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공식적으로 언급됐다. 김 대표는 “전체 고객의 불안 해소를 위해 유심 교체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확정 시 신속 고지하겠다”고 밝혔다.

유심(USIM)은 단말기 내 가입자 정보 및 결제 인증 핵심 코어로, 해킹·복제 시 대규모 금융 피해 및 개인정보 악용이 우려된다. 기존 유심 중 일부는 보안 인증과 무관하게 ‘SIM 스와핑’ 등 비인가 접근에 취약한 구조적 한계가 지적돼 왔다. 특히 이번 피해와 같은 소액결제 악용 사례는, 이용자 본인은 인지하지 못한 채 요금이 청구되는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요구가 높아졌다.

 

KT가 위약금 면제 등 ‘무과실 혜택’ 적용 폭을 넓힌 것은, 통신사 고객 신뢰 회복에 있어 글로벌 수준의 보안 리스크 관리를 도입하는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는 이미 ‘안심 유심’과 생체인증, 이중 인증(2FA) 강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경쟁사인 SK텔레콤 역시 피해 고객 보상 범위를 조기 발표하며 업계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다.

 

당국 및 전문가들은 통신사 유심 체계의 전면적인 보안 인증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데이터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은 통신사 책임 명확화,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 추가 정책 대책 마련을 검토 중이다. 유심 교체, 보상 프로세스 투명화, 제도·기술적 이중 방어망 구축 등이 주요 논점으로 부각됐다.

 

한 보안전문가는 “고객 신뢰를 확보하려면 단기 보상책뿐 아니라 보안 인증 체계 전반의 혁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KT의 대규모 대응이 실제 이용자 안심으로 연결될지 주목하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kt#유심교체#소액결제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