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정무직 재신임 절차 필요”…권오을,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논란 신중 접근 시사
정치

“정무직 재신임 절차 필요”…권오을,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논란 신중 접근 시사

박선호 기자
입력

역사 인식과 임명 절차를 둘러싼 논란이 국회 청문회장에서 다시 불거졌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임명 과정을 직접 살펴보겠다고 밝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됐다. 여야는 청문회에서 김형석 관장에 대한 재신임 여부, 권 후보자의 역사관과 안보관, 그리고 개인 도덕성 논란을 둘러싸고 맞섰다.

 

권오을 후보자는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김형석 관장과 관련해 “장관에 취임하게 되면 일단 만나보겠다”며 “임명 과정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고 전했다. 김형석 관장이 역사 왜곡 논란 속에 작년 8월 취임한 점을 의식한 발언으로 읽힌다. 권 후보자는 “정무직은 임명권자가 바뀌면 재신임 절차를 모두 다 거쳐야 한다는 게 평소 생각”이라며, “아직 입법이 안 됐지만 그런 방향으로 해야 ‘알박기’ 등 시비가 없어지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또한, 김형석 관장 해임 여부를 묻는 질의에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문제가 맞다면 장관으로서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겠지만, 조금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답해 즉각적인 처분은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김형석 관장은 ‘대한민국 건국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으로 시작돼 1948년 정부 수립으로 완성됐다’는 소신으로 뉴라이트계 입장이라는 비판을 받은 인물이다. 이에 대해 권 후보자는 “이념에 너무 치우치고 사실과 시대에 맞지 않는 말씀을 하셨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권오을 후보자에 대한 역사관·안보관 검증도 이어졌다. 일제강점기 국적에 대해서는 “한국”이라 답했고, 대한민국의 시작점으로는 “1919년 나라를 세웠고 임시정부를 거쳐 1948년 정식 정부가 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에 대해서는 “당시 왜 그런 논란이 일어났는지 안타깝다”며, 행적 재점검은 불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가보안법과 관련해서는 “이제까지 폐지에 찬성하는 입장이었고, 북한만을 상대로 하는 법보다 국가 이익에 해를 끼치는 모든 나라에 적용하는 대체 입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2·3 비상계엄 기념식 포용 여부에 대해서는 “헌법 질서를 유린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정부 기념식 공식화에는 “생각해보겠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어진 질의에선 권 후보자의 도덕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그는 경북지사 선거비 미납을 인정하며 “직접 확인하지 못한 불찰”이라며 고개를 숙이고 재심 신청 계획을 밝혔다. 겹치기 또는 허위 근무 의혹에 관해선 “배우자는 실제 근무했고, 나도 비상근 고문 역할을 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이러한 의혹이 불거진 것에 대해 “부끄럽다”고 덧붙였다.

 

당적 변경 후 보은 인사 논란도 제기됐다. 권 후보자는 “새누리당을 탈당한 지 8년, 무소속 생활이 5년이 지났다”고 반박했으며, 차기 지방선거 경북지사 출마설에는 “없다”고 일축했다.

 

청문회를 거치며 정치권의 타협과 충돌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권오을 후보자가 여러 쟁점에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한 가운데, 보훈부 장관 인사에 대한 국회의 논의와 검증이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권오을#김형석#독립기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