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체포영장 집행 D-1”…특검, 서울구치소 구인 방침에 방어 나선 윤 전 대통령
공천 개입 및 선거법 위반 혐의를 두고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소환을 거듭 거부하자, 특검팀은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서울구치소 방문 구인을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 문제를 이유로 진단서 제출에 나서며 치열한 방어에 돌입했다.
문홍주 특별검사보는 7월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내일(8월 1일) 오전 9시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직접 서울구치소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특검보는 검사와 수사관과 함께 구치소에 도착, 윤 전 대통령에 출석을 우선 권유한다는 계획이다. 만약 불응할 경우 수용실 앞까지 가서 교도관을 지휘해 집행에 나선다는 방침을 알렸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내란특검에 의해 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용 중이다. 체포영장이 집행될 경우 곧바로 호송차를 이용해 특검사무실로 이송될 전망이다.

이날까지 윤 전 대통령은 특검팀의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지난 29일과 30일 소환 조사를 시도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건강 악화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이에 특검팀은 지난 30일 법원에 체포영장을 청구했고, 당일 법원에서 곧바로 영장이 발부됐다. 체포영장의 집행 기한은 다음 달 7일까지로 설정돼 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여러 기저 질환으로 수사에 협조가 어렵다”며 진단서와 의무기록 등을 서울구치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 대학병원 진단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정기적인 안과 치료를 받지 못하면서 실명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은 공천 개입 의혹과 공직선거법 위반, 여론조사 무상 수수 등 쟁점을 들어 윤 전 대통령을 수사 범위에 올렸다. 2022년 대선 당시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뒤, 국회의원 보궐선거 공천에 개입했다는 혐의다. 명 씨는 81차례 불법 여론조사에 관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2021년 10월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을 두고 허위사실을 공표했다는 공직선거법 위반 의혹도 쟁점이다.
한편 특검팀은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씨, 건진법사 전성배 씨 연루 금품 청탁 사건 등도 동시에 조사 중이다. 전날에는 구속된 통일교 윤모 씨를 소환해 조사했고, 건진법사 금품수수와 관련한 이씨도 특검에 출석해 조사를 진행했다.
정치권과 여론은 체포영장 집행 결과와 특검팀의 수사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조사 불응이 계속될 경우 강제조사 과정에서의 법적 다툼과 정치권 파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국회와 특검팀은 추후 조사 의지와 영장 집행 결과에 따라 추가적 법적 절차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