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 3% 인상”…KT 노사, 단체교섭 잠정 합의로 임금 구조 재편
KT의 임금과 복지 구조가 올해 단체교섭에서 대폭 조정된다. KT 노사는 2025년 적용 기본급 3% 인상과 300만원 일시금 지급 등에 잠정 합의했으며, 이번 사안은 IT 산업계 전체 임단협 흐름과 맞물리며 파급력을 키우고 있다. 기본급 인상률은 노조 요구(6.3%)의 절반에도 못 미쳤지만, 복지·승진제도 세부 조항 조정 등 다층적 변화가 동반됐다. 업계는 KT 사례를 향후 ICT분야 노사관계 변화의 전주로 인식한다.
이번 잠정 합의는 18일 KT가 2025년 단체교섭 논의를 통해 도출했다. 주요 합의 내용은 올해 적용 기본급 3% 인상, 300만원 일시금 지급과 함께 승진제도·휴대폰 지원금·시니어컨설턴트제도 등 근무환경 전반의 제도 개편을 포함한다. 지난해 인상률 3.5%와 비교해 소폭 낮아진 것이 특징으로, ICT 대기업 내 임금 조정 추이와 비교해도 주목된다.

기술 산업 내에서는 특히 승진제도 개선 및 경영성과와 연동되는 보상구조 변화에 시선이 쏠린다. 이번 합의로 부장(G5) 승진 전 직급 유지 2년 제한이 폐지되고, 자기계발 출장 지원금이 5년 단위(최대 30년차까지)로 확대된다. 휴대폰 지원금 역시 16만원 한도로 자율 선택이 가능해져, 기업 내 구성원 복지의 유연성이 한층 커졌다. 시니어컨설턴트제도도 임원 20% 선을 유지하되, 기본급 외 영업·자격 수당 등이 신설된다.
글로벌 ICT 기업들과 달리, 국내 통신 대기업 중심의 노사 임단협은 승진·정년·상여 등 내부 인사제도와 IT 업무환경 특성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수렴된다. KT 역시 정년 연장 문제를 국민연금 수급 시점과 연동해 추가 논의키로 했고, 정년퇴직 1년 전 유급슈가 60일 보장 등 노후 대비 지원을 신설했다. 명절상여금(10만~20만원)은 올해 4분기 노사협의회에서 재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잠정 합의는 임직원 설명회와 21일 조합원 투표를 통해 최종 확정 절차를 밟는다. 전문가들은 KT의 임금·복지제도 조정이 통신 및 IT업계 전체에 ‘노사제도 현대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산업계는 이번 합의가 실제 현장에 안착하고, 임금·복지 구조 개편이 경쟁사와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력을 미칠지 주시하고 있다.